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선형회귀분석
- 신라
- 풍백
- 패수
- 히스토그램
- repeated measures ANOVA
- 유주
- 통계학
- linear regression
- 후한서
- 기자
- spss
- 지리지
- 낙랑군
- 창평
- 단군
- post hoc test
- 한서
- t test
- 우분투
- Histogram
- 기자조선
- ANOVA
- 고구려
- categorical variable
- 한서지리지
- 통계
- 독사방여기요
- R
- Today
- Total
獨斷論
한서 유주 상곡군(上谷郡) 본문
한서 유주 상곡군(上谷郡)
상곡군(上谷郡), 진(秦)에서 설치하였다. 왕망이 말하기를 삭조(朔調)라 하였다. 유주(幽州)에 속한다. 가구수는 3,6008이고 인구수는 11,7862명이다. 속한 현은 15개이다.
1) 저양현(沮陽縣), 왕망이 말하기를 저음(沮陰)이라 했다.[1]
2) 천상현(泉上縣), 왕망이 말하기를 새천(塞泉)이라 했다.
3) 반현(潘縣), 왕망이 말하기를 수무(樹武)라 했다.[2]
4) 군도현(軍都縣), 온여수(溫餘水)가 동쪽으로 흘러 어양군 로현(路縣)에 이르러 남쪽으로 고수(沽水)로 들어간다.
5) 거용현(居庸縣), 관(關)이 있다.
6) 구무현(雊瞀縣),[3]
7) 이여현(夷輿縣), 왕망이 말하기를 삭조정(朔調亭)이라 했다.
8) 영현(寧縣), 서부도위(西部都尉)가 다스린다. 왕망이 말하기를 박강(博康)이라 했다.
9) 창평현(昌平縣), 망(莽)이 말하기를 장창(長昌)이라 했다.
10) 광녕현(廣寧縣), 망(莽)이 말하기를 광강(廣康)이라 했다.
11) 탁록현(涿鹿縣), 망(莽)이 말하기를 포륙(抪陸)이라 했다.[4]
12) 차거현(且居縣), 락양수(樂陽水)가 나와서 동남쪽으로 흘러 바다로 들어간다. 망(莽)은 구거(久居)라 했다.
13) 여현(茹縣), 망(莽)은 곡무(榖武)라고 했다.
14) 여기현(女祁縣), 동부도위(東部都尉)가 다스린다. 왕망은 기(祁)라 했다.
15) 하락현(下落縣), 망(莽)은 하충(下忠)이라고 했다.
[1] 孟康曰音俎. 맹강(孟康)은 沮(저)의 음이 조(俎)라고 했다.
[2] 師古曰音普半反. 師古(사고)는 潘의 음이 반(普半反)이라 했다.
[3] 孟康曰音句無師古曰雊音工豆反瞀音莫豆反. 孟康(맹강)은 말하기를 雊의 음이 구(句無反)이라고 했다. 사고(師古)는 雊의 음은 구(工豆反)이이고 瞀의 음은 무(莫豆反)라고 했다.
[4] 應劭曰黄帝與蚩尤戰于涿鹿之野. 응초(應劭)는 말하기를 황제(黄帝)가 치우(蚩尤)와 탁록(涿鹿)의 들판에서 싸웠다고 했다.
上谷郡, 秦置, 莽曰朔調, 屬幽州. 戸三萬六千八, 口十一萬七千七百六十二. 縣十五. 沮陽, 莽曰沮陰.[1] 泉上, 莽曰塞泉. 潘, 莽曰樹武.[2] 軍都, 溫餘水東至路南入沽. 居, 庸有關. 雊瞀,[3] 夷輿, 莽曰朔調亭. 寧, 西部都尉治莽曰博康. 昌平, 莽曰長昌. 廣寧, 莽曰廣康. 涿鹿, 莽曰抪陸.[4] 且居, 樂陽水出東南入海. 莽曰久居. 茹, 莽曰榖武. 女祁, 東部都尉治. 莽曰祁. 下落, 莽曰下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