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斷論

한서 지리지 유주 요동군 본문

고전모음

한서 지리지 유주 요동군

부르칸 2013. 2. 25. 19:59

요동군(遼東郡)

요동군(遼東郡), 진(秦)에서 설치하였고 유주(幽州)에 속한다. 가구수는 5,5972이고 인구수는 27,2539명이다. 현은 18개이다. 


1) 양평현(襄平縣), 목사관(牧師官)이 있다. 왕망은 창평(昌平)이라 했다. 

2) 신창현(新昌縣), 

3) 무려현(無慮縣), 서부도위(西部都尉)가 다스린다.[1] 

4) 망평현(望平縣), 대요수(大遼水)가 새(塞) 밖을 나와서 남쪽으로 안시현(安市縣)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가는데 1250리를 흐른다. 왕망은 장설(長說)이라고 했다.[2] 

5) 방현(房縣), 

6) 후성현(候城縣), 중부도위(中部都尉)가 다스린다. 

7) 요대현(遼隊縣), 망(莽)은 순목(順睦)이라 했다.[3] 

8) 요양현(遼陽縣), 대량수(大梁水)가 서남쪽으로 요양현(遼陽縣)에 이르러 요수(遼水)로 들어간다. 왕망은 요음(遼隂)이라 했다. 

9) 험독현(險瀆縣),[4] 

10) 거취현(居就縣), 실위산(室偽山)은 실위수(室偽水)가 나오는 곳인데, (실위수는) 북쪽으로 양평현에 이르러 양수(梁水)로 들어간다. 

11) 고현현(高顯縣), 

12) 안시현(安市縣), 

13) 무차현(武次縣), 동부도위(東部都尉)가 다스린다. 왕망은 환차(桓次)라고 했다. 

14) 평곽현(平郭縣), 철관(鐵官)과 염관(鹽官)이 있다. 

15) 서안평현(西安平縣) , 망(莽)은 북안평(北安平)이라고 했다. 

16) 문현(文縣), 망(莽)은 문정(文亭)이라고 했다. 

17) 번한현(番汗縣), 패수(沛水)가 새(塞) 밖에서 나와서 서남쪽으로 바다로 들어간다.[5]

18) 답씨현(沓氏縣). [6]


[1] 應劭曰慮音閭師古曰即所謂醫巫閭. 응초(應劭)가 말하기를 慮의 음은 려(閭)라고 했다.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즉 이른바 의무려(醫巫閭)라고 했다.

[2] 師古曰説讀曰悦.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説은 열(悦)로 읽는다고 했다.

[3] 師古曰隊音遂.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隊의 음은 수(遂)라고 했다.

[4] 應劭曰, 朝鮮王滿都也, 依水險, 故曰險瀆. 臣瓉曰, 王險城在樂浪郡浿水之東, 此自是險瀆也. 師古曰, 瓚説是也. 浿音普大反. 응초(應劭)가 말하기를 조선(朝鮮)의 왕(王) 위만이 도읍인데 강물의 험한 것을 의지하였기에 험독(險瀆)이라 한 것이라고 했다. 신찬(臣瓉)이 말하기를 왕험성(王險城)은 낙랑군 패수(浿水)의 동쪽에 있는데 이곳(此, 즉 패수의 동쪽)이 원래의(自是) 험독이라고 했다.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신찬의 말이 옳다고 했다. 浿의 음은 배(普大反)이다.

[5] 應劭曰汗水出塞外西南入海番音盤師古曰沛音普盖反汗音寒. 응초(應劭)가 말하기를 한수(汗水)가 새(塞) 밖에서 나와서 서남쪽으로 바다로 들어간다고 하였다. 番의 음은 반(盤)이라고 하였다.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沛의 음은 배(普盖反)이고 汗의 음은 한(寒)이라고 하였다.

[6] 應劭曰沓水也音長答反師古曰凡言氏者皆謂因之而立名. 응초(應劭)가 말하기를 답수현(沓水縣)이라고 했다. (沓의) 음은 잡(長答反)이다. 사고(師古)가 말하기를 무릇 氏라는 말이라는 것은 대개 물(之)로 인하여 이름을 얻을 때 붙여지는 것이다.  


遼東郡, 秦置. 屬幽州. 戸五萬五千九百七十二. 口二十七萬二千五百三十九.縣十八. 襄平, 有牧師官. 莽曰昌平. 新昌, 無慮, 西部都尉治.[1] 望平, 大遼水出塞外, 南至安市, 入海, 行千二百五十里. 莽曰長說.[2] 房, 候城, 中部都尉治. 遼隊, 莽曰順睦.[3] 遼陽, 大梁水西南至遼陽, 入遼. 莽曰遼隂. 險瀆,[4] 居就, 室偽山, 室偽水所出, 北至襄平, 入梁也. 高顯, 安市, 武次, 東部都尉治. 莽曰桓次. 平郭, 有鐵官鹽官. 西安平, 莽曰北安平. 文, 莽曰文亭. 番汗, 沛水出塞外, 西南入海.[5] 沓氏,[6]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