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linear regression
- spss
- 한서
- 우분투
- 한서지리지
- 선형회귀분석
- 기자조선
- repeated measures ANOVA
- 지리지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통계학
- t test
- 패수
- 히스토그램
- 기자
- 유주
- Histogram
- 후한서
- 창평
- R
- post hoc test
- ANOVA
- 신라
- 통계
- 고구려
- 독사방여기요
- categorical variable
- 단군
- 낙랑군
- 풍백
- Today
- Total
목록고조선 (2)
獨斷論
한맥역사강좌 제 8회 (조선 1) 이라 이름한 뜻 o 조선이외에도 부여(夫餘), 진한(辰韓)·변한(卞韓)·마한(馬韓)·낙랑(樂浪)·대방(帶方)· 진번(眞番)·임둔(臨屯)·신라(新羅)·가락(駕洛)·고구려(高句麗)·백제(百濟)·진(震)·발해 (勃海)·마진(摩震)·태봉(泰封)·고려(高麗) 등의 이름이 있음. o 이들 이름의 뜻을 말하고 조선의 뜻을 말하고자 함. o 이들의 연혁은 모두 단군(壇君)때부터 있던 칭호임. 1. 고구려·고려 등은 단군조선(壇君朝鮮) 중부(中部)의 이름. o 고려 : 고구려의 이름을 이은 자. - 「왕건이 국호를 후고구려(後高句麗)라 하다」 - 서희전 「우리나라가 고구려 故地에서 일어난 고로 국호를 고려라 하다.」 o 고구려는 고주몽성제 이전에도 있었다. - 「북부여왕을 “寧藁離王”이..
규원사화 삼국유사 紀年東史約(1849) 紀年兒覽(1778) 大東歷史(1905) 1)太白山西南牛首河之原曰壬儉城[i] 2)居牛首河畔十年乃遷都於白山之南浿水之北曰平壤卽第二壬儉城也.[ii] 3)御國三十餘年…占居阿斯達下唐莊之野 4)御國四十餘載,…乃益封夫餘北方之地, 使宅牛首忽(卽先平壤[iii]), 使夫婁居壬儉城…[iv] 5)遷都樂浪忽, 使眞番侯監舊都. 6)避居於唐莊京, 入阿斯達[v] 1)降於太伯山頂[vi] 2)唐高卽位五十年[vii]…都平壤城, 始稱朝鮮. 3)移都於白岳山阿斯達[viii] 4)周虎王卽位己卯, 封箕子於朝鮮, 壇君乃移於藏唐京, 後還隱於阿斯達爲山神 1)檀君立都平壤 2)商武丁三十九祀, 入阿斯達 1)都平壤 2)後都白岳, 世號唐藏京 3)入阿斯達爲神 1)雄築室于太白山 2)都長安[今平壤] 3)一百二十七年都白岳 4)一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