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고구려
- 풍백
- Histogram
- 신라
- 한서
- t test
- 통계
- ANOVA
- post hoc test
- 지리지
- 우분투
- categorical variable
- spss
- 한서지리지
- 단군
- R
- 통계학
- 독사방여기요
- 기자
- linear regression
- 창평
- 패수
- 낙랑군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기자조선
- 유주
- 후한서
- repeated measures ANOVA
- 선형회귀분석
- 히스토그램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기국 (1)
獨斷論
子가 꼭 子爵의 의미일까?
기자를 한자로 箕子로 쓰는데 子를 어떤이는 성씨라고 하기도 하고 어떤이는 子爵이라고 하기도 한다. 근데 이 子는 夷狄의 왕을 폄하하는데도 사용하였다. 춘추좌전을 보자. 魯僖公 二十有七年春杞子來朝 27년 봄에 기자(杞子)가 내조했다. 傳에 이렇게 써있다. 二十七年春 杞桓公來朝 用夷禮 故曰子(주1) 公卑杞 杞不共也(주2) 27년 봄에 기환공(杞桓公)이 와서 조견(朝見)하였다. 조견할 때 이적(夷狄)의 예(禮)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자(子)라고 한 것이다. 공公이 기자杞子를 비천卑賤하게 여겼으니, 이는 기자杞子가 공경恭敬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주1 杞 先代之後 而迫於東夷 風俗雜壞 言語衣服有時而夷 故杞子卒 傳言其夷也 今稱朝者 始於朝禮 終而不全 異於介葛盧 故唯貶其爵 기杞는 선대의 후손이지만 동이와 가까워서 그 풍속..
조선사독단/기자조선
2013. 12. 13. 1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