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post hoc test
- 한서지리지
- 패수
- t test
- 통계학
- 기자
- spss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고구려
- repeated measures ANOVA
- 낙랑군
- linear regression
- ANOVA
- R
- 신라
- 풍백
- Histogram
- 지리지
- 히스토그램
- categorical variable
- 유주
- 선형회귀분석
- 후한서
- 창평
- 한서
- 독사방여기요
- 우분투
- 기자조선
- 통계
- 단군
- Today
- Total
목록바람 (2)
獨斷論
남당유고 화랑세기는 아무리봐도 위서임에 틀림이 없다. 남당유고에 쓰인 몇몇 이야기가 훗날 역사적 사실로 밝혀지더라도, 그 이외의 남녀관계에 대한건 모두 일본인들이 첨가한 것임에 분명하다. 일례로 "구리지"가 있다. 이는 사다함의 아버지인데 삼국사기에 그냥 이름만 나와 있다. 근데 이 구리지를 두고 화랑세기에는 이렇게 적고 있다. 斯多含者仇利知子也. 初比梁公慕碧花后常如其厠. 法興大王愛比梁公 不禁之果通后生子 故曰仇利知. 5세 사다함(斯多含)은 구리지(仇利知)의 아들이다. 처음 비량공(比梁公)이 벽화후(碧花后)를 그리워하여, 늘 후(后)의 뒷간에 갔다. 법흥대왕이 비량공을 사랑하여 금하지 않았다. 과연 후(后)와 정을 통하여 아들을 낳았다. 그래서 구리지라 하였다. 아무리 변소에서 성관계를 가져 애를 낳았다고..
아래를 보면 알겠지만 원시알타이어에서 바람을 kiaju(기아주)라고 하였고 특히 터키 계통에서는 이를 shaman spirit으로도 사용하고 있음은 기자조선의 기자가 은나라 기자가 아니라 風神(풍신)을 표현한 것임을 알수 있다. 현대우리말에서는 안좋은 뜻인 '구린내'로 남이 있는게 안타까울뿐이다. Proto-Altaic: *ki̯àjúMeaning: wind, airRussian meaning: ветер, воздухTurkic: *KAj Proto-Turkic: *KAjAltaic etymology: Altaic etymologyMeaning: 1 shaman spirit 2 throat singingRussian meaning: 1 шаманский дух 2 горловое пениеSar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