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Tags
- repeated measures ANOVA
- 우분투
- spss
- 한서지리지
- 유주
- Histogram
- 히스토그램
- 통계학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categorical variable
- 낙랑군
- 한서
- R
- 지리지
- 선형회귀분석
- post hoc test
- 풍백
- linear regression
- 패수
- 통계
- 기자조선
- ANOVA
- 후한서
- t test
- 단군
- 고구려
- 신라
- 창평
- 기자
- 독사방여기요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어니하 (1)
獨斷論
패수(浿水)에 대한 기록 정리
説文解字卷十一上 浿, 水出樂浪鏤方東入海从水頁聲一曰出浿水縣普拜切 패수(浿水)는 낙랑군 루방(鏤方)을 나와서 동쪽으로 해(海)로 들어간다. 水와 頁을 따르는 소리이다. 어떤 사람은 패수현을 나온다고 하였다. 浿는 배(普拜切)로 읽는다. 史記卷一百十五 朝鮮王滿者故燕人也自始全燕時嘗略屬真番朝鮮為置吏築鄣塞秦滅燕屬遼東外徼漢興為其逺難守復修遼東故塞至浿水為界(正義地理志云浿水出遼東塞外西南至樂浪縣西入海浿普大反) 조선(朝鮮)의 임금 위만은 옛 연(燕) 사람이다. 연(燕)의 전성기때부터 진번(眞番)과 조선을 침략하여 아전을 두고 장새(鄣塞)를 쌓았다. 진(秦)이 연(燕)을 멸하고 료동(遼東) 밖의 요(徼)에 속하게 하였다. 한(漢)이 흥하여 그 땅이 너무 멀어 지키기 어려우므로 료동(遼東)의 옛 새(塞)를 고쳐 패수(浿水)를 경..
고전모음
2013. 2. 6. 15: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