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tice
Recent Posts
Recent Comments
Link
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Tags
- 낙랑군
- post hoc test
- 한서지리지
- 후한서
- 창평
- Histogram
- 신라
- 지리지
- 고구려
- categorical variable
- 통계학
- 선형회귀분석
- 풍백
- 한서
- 통계
- 기자조선
- ANOVA
- 단군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패수
- 독사방여기요
- t test
- 기자
- R
- linear regression
- spss
- 유주
- 우분투
- 히스토그램
- repeated measures ANOVA
Archives
- Today
- Total
목록일본어 (1)
獨斷論
고구려말 숫자가 일본말과 닮았다고?
고구려말 三, 五, 七, 九들의 발음이 일본말과 닮았단다. 주장은 근거는 아마도 삼국사기 지리지일게다. 어디 한번 그 근거를 보자. 삼국사기 잡지 지리 고구려 우수주 三峴縣一云密波兮 삼현현은 달리 밀파혜라고도 한다. 삼국사기 잡지 지리 고구려 한산주 五谷郡一云于次呑忽 오곡군은 달리 우차탄홀이라고도 한다. (정덕본에는 弓次云忽) 삼국사기 잡지 지리 고구려 한산주 七重縣一云難隱別 칠중현은 달리 난은별이라고도 한다. 삼국사기 잡지 지리 고구려 한산주 十谷縣一云德頓忽 (정덕본에는 德市頁忽) 십곡현은 달리 덕돈홀이라고도 한다.여기 3, 5, 7, 10이 다 모였다. 우선 한산주에 나온것부터 살펴보자. 五를 于次에 대응하니 이는 현대 일본말 いつ(이쯔, itsu)와 닮았고 七은 難隱에 대응하니 なな(나나, nana..
조선사독단/오국사
2011. 8. 7. 18:2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