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후한서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post hoc test
- 유주
- 한서지리지
- 단군
- 히스토그램
- 풍백
- 통계
- 기자
- Histogram
- 지리지
- 패수
- 우분투
- R
- repeated measures ANOVA
- 고구려
- 신라
- categorical variable
- 한서
- spss
- 통계학
- 선형회귀분석
- ANOVA
- 독사방여기요
- t test
- 기자조선
- 낙랑군
- linear regression
- 창평
- Today
- Total
獨斷論
채변봉투란 무엇인가? 본문
70-80년대에는 우리나라 기생충 박멸을 위해 온 힘을 기울여
초중고교에서는 1년에 2번 전교생의 똥을 받아 학교에 제출해야했다.
그날만 되면 교실 안에 은근한 똥내가 진동을 했다. ㅋㅋ
못가져온 아이들의 사정을 들어보면
- 변비에요
- 설사했어요
- 똥이 안나와요
- 받아놓고 안가져 왔어요...
보통 다른 일 같으면 준비물을 안가져왔을때에는 선생님께 종아리 맞는걸로 끝났으나
채변봉투는 혼내는걸로 끝나지 않고
학교 화장실에서 대변을 받아 그날 다 제출해야 했다.
그날만 되면 교실뿐만 아니라 교무실에 똥내가 진동했다. ㅋㅋ
학생들이 손바닥만한 채변봉투에 똥을 담아 내면
선생들은 서류봉투보다 좀더 큰 종이봉투에 전학년(약 60-80명)의 채변봉투를 한데 담아 교무실로 가져갔다가
한꺼번에 변 검사하는 곳으로 보내야 했으니 말이다....
배변습관을 아침마다 들이지 못한 초등학교시절에는 아침에 신선한 똥을 받아 학교에 가져가는건 참 힘든일이었다.
ㅋㅋ
똥을 받는 방법은 이렇다.
신문지를 바닥에 깔고
거기에 똥을 눟고
나무젓가락으로 엄지손가락 만큼 뗘서 비닐봉투에 담아
비닐봉투 입구를 성냥불로 지져서 밀봉해야했다.
요즘에야 지퍼팩이라는게 있어서 왜 성냥불로 지져야 하는지 요즘 아이들은 이해하지못할수도 있겠다. ㅋㅋ
이게 바로 채변봉투다.
저건 종이 봉투고 저 안에 비닐봉투가 하나 더 있다.
근데 재미난건
학교명과 이름 학년 반번을 먼저 쓰고 똥을 담아야 되는데
똥을 먼저 담고 학교명 이름 학년 반번을 쓰려면 물컹물컹한 똥 위에다가 연필질을 해대는 것이란 참으로 묘한 느낌이었다.
지금보니 조충과 흡충이 검사항목에 있는데...저걸 정말로 검사했을까 의심이 든다. 간흡충과 폐흡충이 대변으로 검사가 되는가 모르겠다...
저걸 검사하고 나면 한 달 정도 있다가 학교에서 약을 주는데
대부분 회충, 요충, 십이지장충이 대부분이었던걸로 기억한다. 물론 약은 공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