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斷論

단군론 1 - 개제 본문

고전모음/최남선 단군론

단군론 1 - 개제

부르칸 2011. 8. 8. 20:00
朝鮮(조선)이 東方最古(동방최고)의 一國(일국)으로 壇君(단군)이 그 人文的始原(인문적시원)이라함은 朝鮮人(조선인)의 오래 前(전)부터 傳信(전신)하는 바이다. 遺文(유문)이 簡略(간략)하야 그 詳(상)을 엇기 어려우나 朝鮮民族(조선민족)의 淵源(연원)과 文物(문물)의 來歷(내력)을 오직 여긔 徵考(징고)할 밧게 업슬진대 獨一(독일)한 遺珠(유주)기에 더욱 그 보배로움을 볼지니 學者(학자)ㅣ 모름직이 反覆玩索(반복완색)하야 그 幽光(유광)을 闡發(천발)하기에 餘力(여력)을 남기지 아니할 것이다. 더욱 朝鮮(조선)은 東亞(동아)에 잇서서 支那(지나) 以外(이외)에 數千年(수천년) 通貫(통관)한 國土(국토)와 文物(문물)의 唯一(유일)한 保有者(보유자)이오 兼(겸)하야 그 人文地理的位置(인문지리적위치)가 正(정)히 民族(민족) 及 文化流動(문화유동)의 幹線(간선)에 當(당)하야 四方(사방)의 風雨(풍우)가 대개 瘡痕(창흔)을 여긔 멈을럿스니 壇君(단군)이 어朝鮮史(조선사)만의 問題(문제)이며 조선이 어 東洋史(동양사)만의 問題(문제)랴
 
대저 東洋(동양)의 文化(문화)는 人類(인류)의 歷史(역사)에 잇서서 다만 量(양)으로 그 强半(강반)을 占(점)할 아니라 한 質(질)로도 그 原題(원제)를 作(작)하는 者(자)어늘 進步(진보)한 學(학)의 鍬鋤(초서)가 아직 깁히 이리로 밋지 못하야 人類(인류)의 文化史(문화사)ㅣ 오히려 半弦(반현)의 그믐을 벗지 못하니 西國의 學界東洋學(학계동양학)의 振興(진흥)에 用意(용의)를 부즈런히 함은 實(실)로 이를 말미암음이다. 그러나 東方(동방)의 文化(문화)라 하면 印度(인도)아니면 支那(지나)를 생각하미 눈을로 그 以前(이전)과 以外(이외)에 지 못함을 成果(성과)ㅣ 항상 努力(노력)을 酬(수)치 못하는 憾(감)이 잇고 東洋(동양)의 學者(학자)ㅣ 한 傳統的成見(전통적성견)으로 支那(지나)에 對(대)해서와 近代的學風(근대적학풍)으로 西人(서인)에 對(대)해서의 二重(이중)의 事大精神(사대정신)에 繫縛(계박)되어서 支那本位的摸索(지나본위적모색)에서 能(능) 寸步(촌보)를 옴기지 못하니 이래서 眞正(진정)한 東洋學(동양학)의 建立(건립)은 前途(전도) 오히려 遼遠(요원)함을 늣기게 한다. 
 
東洋(동양)이 본대 印度(인도)나 支那(지나)만의 것이 아니오 文化(문화)ㅣ 반드시 印度的(인도적)이나 支那的(지나적)이래야 할 것 아닐진대 印度(인도) 又 支那(지나)에 나리지 아니하는 主意(주의)가 그 以外(이외)의 方面(방면)으로도 向(향)함이 진실로 當然(당연)하니 그러면 멘몬저 想起(상기)될 것은 印度(인도) 及(급) 支那(지나)의 오랜 歷史的(역사적)對手(대수)요 民族學的(민족학적)處女(처녀)로 잇는 그 北方(북방)一帶(일대)의 여러 生活群(생활군)일 것이오 한번 손을 亞細亞(아세아)北系(북계)文化(문화)의 探討(탐토)에 대려할진대 橫(횡)으로 數萬里(수만리)를 總攬(총람)하고 縱(종)으로 累千年(누천년)을 一貫(일관)하야 文化(문화)의 津梁(진량)이오 歷史(역사)의 氣流(기류)中心(중심)인 朝鮮(조선)은 正(정)히 그 源委審明(원위심명)과 性質剖檢(성질부검)의 基準材料(기준재료)일 밧게 업슬것이다. 이러하야 朝鮮(조선)은 다만 東洋史(동양사)上(상)에서 만 아니라 人類文化(인류문화)의 形質(형질)을 밝히는 上(상)으로도 마챤가지 宗要(종요)로운 關鍵(관건)을 짓게 된다. 그런데 朝鮮(조선)歷史(역사)의 出發點(출발점)이오 中心(중심)事實(사실)인 것이 壇君(단군)이라하면 壇君(단군)의 學的(학적)意義(의의)와 價値(가치)가 한 重大(중대)하지 아니하냐.
 
닐은바 東方(동방)文化(문화)란 것이 무엇인가 東方(동방)文化(문화)의 主軸(주축)이라는 支那(지나)文化(문화)란 것은 어한 逕路(경로)와 因緣(인연)으로 成立(성립)된 것인가 東方(동방)文化(문화)의 內容(내용)이 支那(지나) 以外(이외) 又(우) 以前(이전)의 무엇을 含有(함유)하엿다 하면 그 本質(본질), 範圍(범위), 歷史的(역사적) 意義(의의)가 어한가 東方(동방)文化(문화) 又(우) 亞細亞(아세아)文化(문화)의 人類的(인류적)關係(관계)는 그 端緖(단서)를 那邊(나변)에 求(구)할 것이가 等(등) 問題(문제)는 自體(자체)의 潛光(잠광)과 支那(지나)의 反射(반사)로써 比較的(비교적)明白(명백)한 繼續的(계속적)證跡(증적)을 가진 朝鮮(조선)에 그 門路(문로)를 차질 것이니 朝鮮(조선)의 傳說(전설), 遺俗(유속)과 밋 거긔 關(관)한 文籍(문적)은 이문에 特別(특별)한 細心(세심)과 虔誠(건성)으로써 處理(처리)되지 아니하면 아니될 것이다. 저 壇君(단군)古傳(고전)가튼 것도 疏略(소략)하면 疏略(소략)할스록 片字隻句(편자척구)에 深密(심밀)한 注意(주의)를 더해야 할 것이오 疑眩(의현)하면 疑眩(의현)할스록 障翳(장예)를 헤치고 眞面(진면)을 찻기에 篤摯(독지)한 努力(노력)을 바칠 것이오 설사 不幸(불행)히 그것이 架空鑿虛(가공착허)한 後代(후대)의 浪說(낭설)일지라도 행여 映像(영상)되엇슬가 하는 古意(고의)를 檢索(검색)하기에 可能(가능)을 다 한뒤에 말지니 壇君(단군)은 實(실)로 茫茫(망망)한 東洋學(동양학)海(해)의 겨오남은 一(일)浮木(부목)으로 東方(동방)文化(문화)의 盲龜(맹귀)가 그 浮沈(부침)을 오로지 이에 判斷(판단)할 것이매 비록 변변치안코 하잘 것 업슬지라도 오히려 遽然(거연)히 廢擲(폐척)하지 못하려든 하물며 渾然(혼연)한 璞玉(박옥)이 실상 寶光(보광)의 숨은 집임에랴 하물며 一篇(일편) 壇君(단군)의 簡素(간소)한 古傳(고전)이 東方(동방)文化(문화)의 全斑(전반)을 炳然(병연)히 顯揚(현양)하고 남음이 잇슴에랴 敬虔忠直(경건충직)한 學者(학자)良心(양심)은 이 한 구멍을 通(통)하야 넉넉히 支那(지나) 印度(인도) 以外(이외) 又(우) 以前(이전)의 一大(일대)文化相(문화상)을 데미다 볼 것이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