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풍백
- 신라
- categorical variable
- t test
- 선형회귀분석
- spss
- 창평
- 낙랑군
- 유주
- 고구려
- 패수
- 통계
- 기자
- 단군
- repeated measures ANOVA
- 한서지리지
- 지리지
- 우분투
- 기자조선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히스토그램
- 후한서
- 통계학
- linear regression
- 독사방여기요
- Histogram
- post hoc test
- R
- ANOVA
- 한서
- Today
- Total
목록조선사독단 (50)
獨斷論
《五百家註柳先生集》巻五 箕子碑[孫曰箕子名須臾] 자손들이 말하길 "기자의 이름은 수유다" 《論語類考》卷七 莊子云箕子名胥餘不知何據 기자의 이름은 서여(胥餘)인데 어떤 기록을 근거로 이야기하는 것인지 모르겠다. 한자식으로 읽으면 서여胥餘지만 중국식으로 읽으면 xu yu.. "수유"... 다른 한자로 쓰면 수유須臾 기자의 이름이 왜 수유인가? 이는 기자와 수유가 '바람'을 뜻하는 말의 다른 종족의 말이라는 것 아래는 모두 '바람'을 뜻하는 몽골 퉁구스 한국말의 어원들 Khalkha: xuj 수ㅠ Buriat: xuj 수ㅠ Kalmuck: xǖ 수 Ordos: xuj 수ㅠ Shary-Yoghur: χui 수이 Proto-Altaic: ki̯àjú Proto-Turkic: kaj Proto-Mongolian: ku..
신당서와 구당서에 아주 요상한 구절이 있다. 구당서 事靈星神日神可汗神箕子神 고구려는 영성신 태양신 가한신 기자신을 섬긴다 신당서 祀靈星及日箕子可汗等神 고구려는 영성신 태양신 기자신 가한신 등에 제사를 지낸다 箕子可汗이 箕子와 可汗이냐 아니면 그냥 箕子可汗이냐에 혈전을 벌이기도 하지만 그건 중요하지 않다.이병도는 위 요상한 구절에 "箕子朝鮮 시대의 始祖 假飾說에서 숭배되어 온 遺習"이라고 주석하였지만 너무 생각 없고 무책임하다. 학자로서 곰곰히 따져보지 않는 산물의 주석이다. 재야학자들은 이런 이상한 구절이 나올때마다 중국이 변조한 것이라고 하지만 이건 더 무책임한 발언이다. 자신들 입맛에 맞지 않으면 변조라고 말하는것 자체가 이제 식상한 시대가 되었다. 지난 두 회(1회, 2회)에서 箕子기자란 풍신의 순..
기자조선의 왜곡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단군의 의미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단군은 하늘이란 의미 모든 나라의 역사가 그러하듯이 역사의 시초는 하늘과 관계가 있다. 그런데 우리민족이나 몽골계통의 역사에서 하늘은 둥글다는 관념을 가졌던 것 같다. 《頤齋遺藁》卷二十五, 〈華音方言字義解〉 北虜呼天曰祁連、而韃靼猶呼統格落。統格落者卽我東呼圓之辭。蓋我東呼圓曰斗應斤來、是與韃靼語相近、而所謂格落卽祁連之轉音、况天形圓乎。蒙古卽韃靼古匈奴部種。故言語之傳在我東者亦鑿鑿如此。又攷漢書匈奴呼天曰撑黎、呼子曰孤塗。此其爲單于之尊稱而呼天者。 북로(北虜)는 하늘을 기련(祁連)이라 하고, 달달(韃靼은 이와 비슷하게 통격락(統格落)이라 한다. 통격락(統格落)이라는 것은 즉 우리말에서 圓(원)을 말하는 것이다. 대개 우리말에 圓을 둥글(斗應斤來)이라..
공기의 흐름에는 대개 2가지가 있는데 자연적으로 부는걸 '바람'이라하고 인공적으로 만들어진걸 '기'라고 하였다. 현재는 구분하지 않고 '기'라는 말은 사라진 고어가 되어버렸다. 하지만 그 흔적어는 남아 있는데키: 바람을 일으켜 곡식을 까부르는걸 '키'라 하는데 공교롭게 箕라는 글자이다. 게트림: 여기서 '게'는 공기를 의미하며 '트림'이란 트였다는 말이다. 이는 가트림, 개트림, 그트럼, 기트름 등 여러가지 사투리가 존재하는데 '게', '기', '가', '개', '그' 등으로 변한다. 모두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공기의 흐름을 말한다. 기ㅊ다: 요즘은 기침을 하다고 하지만 옛날에는 기침을 기ㅊ이다라고 하였다. 꿈을 꾸다나 잠을 자다와 같이 동족목적어를 갖는 말인데 기침을 기ㅊ이는 것은 공기를 흐르게 하는 것..
赫居世를 일연은 아마도 鄕言일 것이며 弗矩內王이라고 한다고 했다... 일연도 정확히 몰라서 "아마도"라는 말을 붙였다. 鄕言이 무엇인가? 대개 우리가 아는 향찰표기를 말한다. 향찰을 이용하여 赫居世를 억지로 해석하다보니 赫은 뜻으로, 居은 음으로, 또다시 世는 뜻으로 해석하여 불거내(弗矩內)라 한것이다 하지만 대개 어간은 뜻으로 어미는 음으로 하는게 일반적이니 일연의 赫居世에 대한 해석은 너무 자의적이며, 만약 赫居世가 향언이라면 赫는 뜻으로 居과 世는 음으로 해석했어야만 옳다... 그러니 일연의 해석은 맞다고 볼수 없다. 삼국사기에 赫居世를 해석할수 있는 좋은 단서가 있다. 年十餘歲岐嶷然夙成 나이 10여 세가 되자 재주가 특출하고 숙성하였다나이 10여세에 다른 어린이들보다 재주가 많고 숙성(夙成)했다는..
漢語 達胡爾語 蒙古語 水 水深 水淺 水漲 水落 水渟 沃索 沃索滾 沃索古完 沃索必勒特北 沃索胡瓦北 沃索索森 沃索 沃索滾 鄂蘇滾 鄂蘇▨布勒伯 鄂蘇他特巴 鄂蘇薩郭巴 옥저가 와지의 뜻이 아니라는 말이다. 옥저를 海城으로 바꾼데는 다 이유가 있음이다. 출처: 흑룡강지고
馬石이 아니란게 흠... 原自南山磨石口登海會寺寺當山缺逺見盧溝橋在數十里外橋柱歴歴可數 小長峪口在昌平州二道關東北其北有萬澗口其東曰大長峪口内有堡再東北為南冶口大榛峪口驢鞍嶺口磨石水口擦石口内俱有堡再東即密雲縣之幵連口自洪鎮山以下皆州境第一道邊城
장진근이 번역한 만주원류고에 보면 아래와 같은 주장이 있다. 청조 말기 정겸(丁謙)이란 학자가 신당서각외국전지리고증(新唐書各外國傳地理考證)에서 백제의 두 왕성에 대해 매우 귀중한 고증을 한 바 있어 소개하고자 한다. 즉, “왕은 동·서의 두 성에서 거주하는데 동성(東城)은 곧 공주(公州)로서 당시 국왕의 배도(陪都: 제2수도)였고, 서성(西城)은 지금 부여현(夫餘縣)이니 양(梁)나라 때 명농왕(明穠王)이 이미 이 산성에서 살았던 곳으로 성산(成山)으로도 쓰고 산동(山東) 영성현(榮城縣)동쪽에 있다”고 하였다. (장순휘 주편, 이십오사삼편(二十五史三編) 제7분책, 구록서사, 240쪽 참조.) 과연 이 주장이 합당한가?위 주장이 합당한지 보기위하여 정겸이 썼다는 신당서각외국전지리고증을 검토해보아야만 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