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창평
- repeated measures ANOVA
- 풍백
- categorical variable
- ANOVA
- 히스토그램
- 한서
- R
- 고구려
- post hoc test
- 통계
- spss
- 패수
- 한서지리지
- 통계학
- 기자
- 우분투
- 낙랑군
- 기자조선
- 단군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후한서
- 유주
- 지리지
- t test
- Histogram
- 신라
- linear regression
- 선형회귀분석
- 독사방여기요
- Today
- Total
목록후한서 (4)
獨斷論
대군(代郡) 대군(代郡), 진(秦)이 설치하였다. 낙양(雒陽)에서 동북쪽으로 2500리에 있다.[1] 성은 11개이고 가구수는 2,0123이며 인구수는 12,6188명이다. 1) 고류현(髙栁縣). 2) 상건현(桑乾縣). 3) 도인현(道人縣). 4) 당성현(當城縣). 5) 마성현(馬城縣). 6) 반씨현(班氏縣). 7) 의씨현(狋氏縣). 8) 북평읍현(北平邑縣) , 영원(永元) 8년에 다시 되돌렸다. 9) 동안양현(東安陽縣). 10) 평서현(平舒縣). 11) 대현(代縣).[2] [1] 古今注曰建武二十七年七月屬幽州. 고금주(古今注)에서 말하기를 건무(建武) 27년 7월에 유주(幽州)에 속했다고 한다. [2] 干寳 搜神記 曰..代城始築, 立板幹, 一旦亡西南板, 四五十里于澤中自立, 結葦為外門, 因就營築焉, 故其城..
광양군(廣陽郡) 광양군(廣陽郡), 고제(髙帝)가 설치하여 연국(燕國)이 되었는데, 소제(昭帝) 가 이름을 군(郡)으로 바꾸었다. 세조(世祖) 가 상곡군(上谷郡)에 병합했는데, 영평(永平) 8년에 다시 군(郡)으로 하였다. 성은 5개이고 가구수는 4,4550이며 인구수는 28,0600명이다. 1) 계현(薊縣). 원래 연국(燕國)이며 자사(刺史)가 다스린다.[1] 2) 광양현(廣陽縣). 3) 창평현(昌平縣), 전한(前漢)에서는 상곡군(上谷郡)에 속했다. 4) 군도현(軍都縣), 전한(前漢)에서는 상곡군에 속했다. 5) 안차현(安次縣), 전한(前漢)에서는 발해군(勃海郡)에 속했다. [1] 漢官曰雒陽東北二千里. 한관(漢官)이 말하기를 락양(雒陽)에서 동북쪽으로 2000리라 하였다. 廣陽郡, 髙帝置, 為燕國, 昭帝..
유주(幽州) 탁군(涿郡) 탁군(涿郡), 고제(髙帝)가 설치하였다. 낙양(雒陽)에서 동북쪽으로 1800리에 있다. 성(城)이 7개이고 가구수는 10,2218이며 인구수는 63,3754명이다. 1) 탁현(涿縣), 2) 주국(逎國). 후국(侯國)이다.[1] 3) 고안현(故安縣) 역수(易水)가 나오며 박수(雹水)가 나온다.[2] 4) 범양국(范陽國). 후국(侯國)이다. 5) 양향현(良鄉縣). 6) 북신성현(北新城縣). 분수문(汾水門)이 있다.[3] 7) 방성현(方城縣) 옛 광양국(廣陽國)에 속했는데 임향(臨鄉)이 있고,[4] 독정(督亭)이 있다.[5] [1] 史記漢武帝至鳴澤, 服䖍曰在縣北界. 사기(史記)에서 말하기를 한(漢) 무제(武帝)가 명택(鳴澤)에 이르렀다고 했다. 복건(服䖍)이 말하기를 탁현(縣)의 북쪽..
1.《설문해자》의 이(夷), 만(蠻), 융(戎), 적(狄). ▶ 자료 출처 :《說文解字經》段玉裁 著. 臺灣 蘭臺書局. 1977. 【東方之人也從大從弓】 【동방의 사람을 말한다. ‘大’에서 유래하였으며 또한 ‘弓’에서 유래하였다.】 各本作平也從大從弓東方之人也淺人所改耳今正韻會正如是羊部曰南方蠻閩從虫北方狄從犬東方貉從豸西方羌從羊西南僰人焦僥從人蓋在坤地頗有順理之性惟東夷從大大人也夷俗仁仁者壽有君子不死之國按天大地大人亦大大象人形而夷篆從大則與夏不殊夏者中國之人也從弓者肅愼氏貢楛矢石砮之類也出車節南山桑柔召旻傳皆曰夷平也此與君子如夷有夷之行降福孔夷傳夷易也同意夷卽易之假借也易亦訓平故叚夷爲易也節南山一詩中平易分釋者各依其義所近也風雨傳曰夷悅也者平之意也皇矣傳曰夷常也者謂夷卽彝之假借也凡注家云夷傷也者謂夷卽痍之假借也周禮注夷之言尸也者謂夷卽尸之假借也尸陳也其他訓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