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히스토그램
- 선형회귀분석
- t test
- 창평
- repeated measures ANOVA
- 한서
- Histogram
- 한서지리지
- R
- 통계학
- 풍백
- linear regression
- 독사방여기요
- 기자조선
- 신라
- spss
- 기자
- 후한서
- categorical variable
- ANOVA
- 통계
- 유주
- 고구려
- 단군
- post hoc test
- 우분투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지리지
- 패수
- 낙랑군
- Today
- Total
獨斷論
패수(浿水)에 대한 기록 정리 본문
説文解字卷十一上
浿, 水出樂浪鏤方東入海从水頁聲一曰出浿水縣普拜切
패수(浿水)는 낙랑군 루방(鏤方)을 나와서 동쪽으로 해(海)로 들어간다. 水와 頁을 따르는 소리이다. 어떤 사람은 패수현을 나온다고 하였다. 浿는 배(普拜切)로 읽는다.
史記卷一百十五
朝鮮王滿者故燕人也自始全燕時嘗略屬真番朝鮮為置吏築鄣塞秦滅燕屬遼東外徼漢興為其逺難守復修遼東故塞至浿水為界(正義地理志云浿水出遼東塞外西南至樂浪縣西入海浿普大反)
조선(朝鮮)의 임금 위만은 옛 연(燕) 사람이다. 연(燕)의 전성기때부터 진번(眞番)과 조선을 침략하여 아전을 두고 장새(鄣塞)를 쌓았다. 진(秦)이 연(燕)을 멸하고 료동(遼東) 밖의 요(徼)에 속하게 하였다. 한(漢)이 흥하여 그 땅이 너무 멀어 지키기 어려우므로 료동(遼東)의 옛 새(塞)를 고쳐 패수(浿水)를 경계로 하였다(정의: 지리지에서 말하기를 패수(浿水)는 료동(遼東)의 새(塞) 밖에서 나와서 서남쪽으로 낙랑현(樂浪縣)에 도달하여 서쪽으로 해(海)에 들어간다고 하였다. 浿는 배(普大反)로 읽는다)
東走出塞渡浿水居秦故空地上下鄣(索隱案地理志樂浪有雲鄣)
위만은 동쪽으로 달아나 새(塞)를 나와 패수를 건너 진(秦)의 옛 공터(空地) 상하장(上下鄣)에서 살았다. (색은 안: 지리지에서 말하기를 낙랑군에 운장(雲鄣)이 있다고 하였다)
左將軍撃朝鮮浿水西軍
좌장군은 패수 서쪽의 군대를 공격하였으나,
前漢書卷二十八下
樂浪郡, 浿水(水西至増地入海莽曰樂鮮亭師古曰浿音普大反)
낙랑군 패수현(패수가 서쪽으로 증지(増地)에 이르러 海로 들어간다. 왕망이 말하기를 낙선정(樂鮮亭)이라 하였다. 사고는 浿의 음이 배(普大反)라 하였다)
遼東郡, 險瀆(應劭曰朝鮮王滿都也依水險故曰險瀆臣瓉曰王險城在樂浪郡浿水之東此自是險瀆也師古曰瓚説是也浿音普大反)
료동군(遼東郡) 험독현(應劭가 말하기를 조선의 임금 위만이 도읍한 곳이다. 물의 험한 것에 의지하였기에 험독이라 하였다. 臣瓉이 말하기를 왕험성은 낙랑군 패수의 동쪽에 있다. 이것은 즉 험독은 그냥 있는 험독이다. 師古가 말하기를 臣瓉의 설명이 옳다고 하였다. 浿의 음은 배(普大反)이다)
周書卷四十九
其地東至新羅, 西渡遼水二千里, 南接百濟, 北隣靺鞨千餘里, 治平壤城, 其城東西六里, 南臨浿水
고구려의 땅은 동쪽으로 신라에 이르고 서쪽으로 요수를 건너 2000리이고, 남쪽으로 백제와 접하며 북쪽으로 말갈과 1000여리 이웃하고 있다. 평양성에서 다스리는데 그 성은 동서로 6리이고 남쪽으로 패수와 임해 있다.
遼史卷三十八
東京遼陽府 ……有 蒲河 清河 浿水 亦曰 泥河 又曰 蓒芋濼水, 多 蓒芋之草.
또 포하(蒲河), 청하(淸河), 패수(浿水)가 있다. 패수는 니하(泥河) 또는 한우력(蓒芋濼)이라고도 하는데, 강에 한우초가 많기 때문이다.
遼陽縣 本 渤海國 金德縣地, 漢 浿水縣, 髙麗 改為 勾麗縣, 渤海 為 常樂縣, 户一千五百. 仙鄉縣 本 漢 遼隊縣, 渤海 為 永豐縣. 神仙傳 云 仙人 白仲理 能煉 神丹, 㸃 黄金 以救百姓, 户一千五百. 鶴野縣 本 漢 居就縣地, 渤海 為 雞山縣. 昔 丁令威 家此, 去家千年, 化鶴來歸, 集於蕐表柱, 以咮畫表云, “有鳥有鳥丁令威, 去家千年今來歸, 城郭雖是人民非, 何不學仙塜纍纍” 户一千二百. 析木縣 本 漢 望平縣地, 渤海 為 花山縣, 户一千. 紫蒙縣 本 漢 鏤方縣地, 後 佛寧國 置 東平府, 領 紫蒙縣. 後徙 遼城, 并入 黄嶺縣. 渤海 復為 紫䝉縣, 户一千. 興遼縣 本 漢 平郭縣地, 渤海 改為 長寧縣. 唐元和中 渤海王大仁秀 南定 新羅, 北略 諸部, 開置郡邑, 遂定今名, 户一千. 肅慎縣 以渤海户 置. 歸仁縣. 順化縣.
1) 요양현(遼陽縣) 본래 발해의 금덕현(金德縣)이다. 한나라 때 패수현(浿水縣)이었는데, 고구려가 구려현(句麗縣)으로 고쳤다. 발해 때는 상락현(常樂縣)이었다. 호구 수는 1,500호이다.
2) 선향현(仙鄕縣) 본래 한나라 요동군 요대현(遼隊縣)인데, 발해 때는 영풍현(永豐縣)이었다. 신선전(神仙傳)에서 “신선 백중리(白仲理)가 신단(神丹 ; 신선이 만든다는 장생불사의 환약)을 단련하여 황금에 붙여 백성을 구제하였다”라고 하였다. 호구 수는 1,500호이다.
3) 학야현(鶴野縣) 본래 한나라 요동군 거취현(居就縣)인데, 발해 때는 계산현(雞山縣)이었다.…(해석못함)… 호구 수는 1200호이다.
4) 석목현(析木縣) 본래 한나라 요동군 망평현(望平縣)인데, 발해 때는 화산현(花山縣)이었다. 호구수는 1,000호이다.
5) 자몽현(紫蒙縣) 본래 한나라 낙랑군 누방현(鏤芳縣)인데, 나중에 불녈국(拂涅國)이 동평부(東平府)를 설치하고 자몽현(紫蒙縣)을 관할하였다. 나중에 요성(遼城)으로 옮겨 황령현(黃嶺縣)에 편입하였다. 발해 때는 다시 자몽현이었다. 호구 수는 1,000호이다.
6) 흥료현(興遼縣)은 본래 한나라 요동군 평곽현(平郭縣)인데, 발해가 장녕현(長寧縣)으로 고쳤다. 당나라 원화(元和) 연간((806~820)에 발해의 대인수(大仁秀)가 남쪽으로 신라를 평정하고 북쪽으로 여러 부족을 공략한 후 군읍(郡邑)을 설치하였다. 이때 지금 이름으로 정하였다. 호구 수는 1,000호이다.
7) 숙신현(肅愼縣) 발해인 호구로 설치하였다.
8) 귀인현(歸仁縣)
9) 순화현(順化縣)
渌州 鴨渌軍 節度, 本 髙麗 故國, 渤海 號 西京 鴨渌府, 城髙 三丈, 廣輪 二十里, 都督 神桓豐正 四州事, 故縣三, 神鹿 神化 劔門, 皆廢. 大延琳 叛, 遷 餘黨於上京, 置易俗縣居之. 在者户 二千, 隸東京留守司, 統 州四 縣二. 弘聞縣. 神鄉縣. 桓州 髙麗 中都城, 故縣三, 桓都 神鄉 浿水, 皆廢. 髙麗王 於此 剏立 宫闕, 國人 謂之 新國. 五世孫 釗 晉康帝 建元初 為 慕容皝 所敗, 宫室焚蕩. 户七百, 隸渌州, 在西南二百里. 豐州 渤海 置 盤安郡, 故縣四, 安豐 渤恪 隰壤 硤石, 皆廢. 户三百, 隸渌州, 在東北二百一十里. 正州 本 沸流王故地國, 為公孫康所併, 渤海 置 沸流郡, 有沸流水. 户五百, 隸渌州, 在西北三百八十里. 統縣一, 東那縣 本 漢 東暆 不而縣地, 在州西七十里. 慕州 本 渤海 安逺府地, 故縣二, 慕化 崇平 乆廢. 户二百, 隸渌州, 在西北二百里.
녹주(淥州) 압록군(鴨淥軍)은 절도를 두었다. 본래 고구려 고국(故國)이며 발해는 서경압록부(西京鴨淥府)라고 불렀다. 성의 높이는 3길이며 너비는 20리나 된다. 신주(神州)•환주(桓州)•풍주(豐州)•정주(正州) 등 4주의 일을 관할하였다. 옛 현은 신록(神鹿)•신화(神化)•검문(劍門) 등 셋인데 모두 폐지되었다. 대연림이 반란을 일으켰을 때 나머지 잔당들을 상경으로 옮겨 역속현(易俗縣)을 두어 거주시켰다. 호구수는 2,000이며, 동경유수사에 예속되었다. 4주와 2현을 관할하였다.
1) 홍문현(弘聞縣)
2) 신향현(神鄕縣)
3) 환주(桓州) 고구려 중도성(中都城)으로 옛 현은 환도(桓都)•신향(神鄕)•패수(浿水) 등 셋인데 모두 폐지되었다. 고구려 왕은 여기에 궁궐을 처음 세웠는데 나라 사람들이 신국(新國)이라고 불렀다. 5대손 쇠(釗 ; 고국원왕)는 진(晉)나라 강제(康帝) 건원(建元) 초년에 모용황(慕容皝)에게 패하고 궁실이 불타버렸다. 호구수는 700이며 녹주에 예속되었는데, 녹주에서 서남쪽으로 200리 떨어져 있다.
4) 풍주(豐州) 발해가 반안군(盤安郡)을 설치하였는데 옛 현은 안풍(安豐)•발각(渤恪)•습양(隰壤)•협석(硤石) 등 넷인데 모두 폐지되었다. 호구수는 300이며 녹주에 예속되었다. 동북쪽으로 210리 떨어져 있다.
5) 정주(正州) 본래 비류왕(沸流王)의 옛 지역으로 공손강(公孫康)에게 병합되었다. 발해가 비류군(沸流郡)을 설치하였다. 비류수(沸流水)가 있다. 호구수는 500이며 녹주에 예속되었다. 서북쪽으로 380리 떨어져 있다. 관할 현은 하나이다.
– 동나현(東那縣) 본래 후한의 동이(東暆) 부이현(不而縣)땅으로 정주에서 서쪽으로 70리 떨어져 있다.
6) 모주(慕州) 본래 발해의 안원부(安遠府) 지역으로 옛 현은 모화(慕化)•숭평(崇平) 둘이 있는데 오래전에 폐지되었다. 호구수는 200이며 녹주에 예속되었다. 서북쪽으로 200리 떨어져 있다.
水經注卷十四
浿水出樂浪鏤方縣東南過臨浿縣東入于海
許慎云浿水出鏤方東入海一曰出浿水縣. 十三州志曰浿水縣在樂浪東北鏤方縣在郡東盖出其縣南逕鏤方也 昔燕人衞滿自浿水西至朝鮮朝鮮故箕子國也箕子教民以義田織信厚約以八法而下知禁遂成禮俗戰國時滿乃王之都王險城地方數千里至其孫右渠漢武帝元封二年遣樓船將軍楊僕左將軍荀彘討右渠破渠于浿水遂滅之若浿水東流無渡浿之理其地今髙句麗之國治余訪蕃使言城在浿水之陽其水西流逕故樂浪朝鮮縣即樂浪郡治漢武帝置而西北流故地理志曰浿水西至增地縣入海又漢興以朝鮮為逺循遼東故塞至浿水為界考之今古于事差謬盖經誤證也
패수(浿水)는 낙랑군 누방현(鏤方縣)을 나와서 동남쪽으로 림패현(臨浿縣)을 지나 동쪽으로 海로 들어간다(過 다음에 于가 있기도 한다)
허신(許慎)은 말하기를 패수(浿水)는 루방현을 나와 동쪽으로 海로 들어가는데 혹은 패수현을 나온다고 하였다. 십삼주지(十三州志)에서 말하기를 패수현은 낙랑군 동북쪽에 있고 루방현은 낙랑군 동쪽에 있는데 모두 (패수현과 루방현) 그 현을 나와 [남쪽으로, 본문의 南을 而로 쓴 것도 있다] 루방현을 지난다고 하였다. 옛날 연나라 사람 위만이 패수 서쪽으로부터 조선에 이르렀는데 조선은 옛 기자의 나라이다. 기자는 백성에게 올바름을 가르치고 밭갈기와 옷감짜기를 믿음과 두터움으로 하였으며 8법으로 조약하여 금하는 것을 알게 하였으니 드디어 예절과 풍속을 이루었다. 전국시대에 위만이 이내 왕이 되어 왕험성에 도읍하였는데 방 수천리였다. 그 자손 우거에 이르러 한무제 원봉2년에 누선장군(樓船將軍) 양복(楊僕)과 좌장군(左將軍) 순체(荀彘)를 보내 우거(右渠)를 공격하였는데, 우거를 패수(浿水)에서 깨뜨려 드디어 우거를 멸하였다. 만약 패수가 동쪽으로 흘렀다면 동쪽으로 건너는 것이 가능하지 않다. 그 땅은 지금 고구려가 다스리고 있는데 내가 고구려 사신에게 찾아가 물으니 말하기를 고구려의 성은 패수의 북쪽에 있고 패수는 서쪽으로 흘러 옛 낙랑군 조선현을 지난다고 하였는데, 즉 낙랑군 치소이다. 내가 고구려 사신에게 물어보니 대답하기를 평양성은 패수의 북쪽에 있는데 패수는 서쪽으로 흘러 옛 漢 무제가 설치한 낙랑군 치소인 낙랑군 조선현을 지나고 서북쪽으로 흐른다. 그래서 지리지에서 말하기를 패수는 서쪽으로 증지현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고 한 것이다. 또한 漢이 흥하자 조선이 너무 멀어 요동의 옛 塞를 복원하여 패수를 경계로 한 것이다. 이것을 고찰하여 보면 옛 일에 대한 어긋남이 있는데 모두 수경의 어긋남을 증명하는 것이다.
欽定大清一統志卷三十八
淤泥河, 在海城縣西南六十五里, 源出聖水山, 西流至迷真山, 西散漫河之南為盖平縣界. 按, 遼志, 遼陽府有泥河, 又曰蓒芋深水, 多蓒芋之草. 縣志以為即淤泥河但遼志謂即浿水誤.
欽定大清一統志卷三十九
遼陽故城, …又按, 遼陽本漢縣名屬元菟郡, 晉廢其舊址久堙. 以漢志及水經注考之, 其地當在今州西北界, 承徳遼陽之間, 梁水渾河交㑹之處. 今州乃遼金之遼陽也遼志云本漢浿水縣髙麗改為句麗縣渤海為常樂縣浿水在漢樂浪郡今朝鮮界内金徳常樂乃渤海中京顯徳府縣名皆不在此又按新唐書渤海所建府州無遼陽之名而遼志謂之遼陽故城金志直云渤海遼陽故城疑唐中葉安東府廢後渤海置城於此謂之遼陽事或有之然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