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斷論

고수(沽水)는 백하(白河)가 아니다 본문

조선사독단/통사

고수(沽水)는 백하(白河)가 아니다

부르칸 2012. 9. 13. 14:36

고수(沽水)를 현재의 백하(白河)라고 비정한다.

그러나 그렇게 비정하기에는 여러가지 어려움이 따르는데 그러한 사항들을 하나씩 정리해보고자 한다.


한서(漢書)에 나온 고수(沽水)

代郡,

且如, 于延水出塞外, 東至寕入沽. 中部都尉治.

平舒, 祁夷水北至桑乾入沽. 莽曰平葆.

대군(代郡)

차여현(且如縣), 우연수(于延水)가 새(塞) 밖에서 나와서 동쪽으로 흘러 (상곡군) 녕현(寕縣)에 이르러 고수(沽水)로 들어간다. 중부도위(中部都尉)가 다스린다.

평서현(平舒縣), 기이수(祁夷水)가 북쪽으로 흘러 상건현(桑乾縣)에 이르러 고수(沽水)로 들어간다. 왕망이 말하기를 평보라 했다.


위에 우연수와 기이수가 나온다.

보통 우연수는 영정하의 상류인 양하(洋河)로 비정된다.

그리고 기이수는 현재 상건하 지류인 현재의 울현(蔚縣)과 소오태산(小五台山) 근처를 지나는 대류하(臺流河)로 비정된다.

과연 양하(洋河)와 대류하(臺流河)가 현재의 백하(白河)를 지나는가? 그렇지 않다.

이는 고수(沽水)가 백하(白河)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주는 하나의 예가 된다.

예측하건대 물길의 변화를 고려하더라도 고수(沽水)는 적어도 현재의 선화(宣化) 혹은 회래(懷來) 혹은 장가구(張家口) 정도를 지나는 영정하의 지류 정도가 되어야 할 것이다.


요사(遼史)에 나온 고수(沽水)

요사(遼史)에는 고수(沽水)가 단주(檀州)에 있다고 하지 않았다.

상식적으로 고수(沽水)가 현재 백하(白河)라면 당연히 단주(檀州)에 있다고 하여야 했지만 요사 지리지의 설명은 다르다.

儒州 縉陽軍 中 刺史. 唐置.   後唐同光二年隸新州, 太宗改奉聖州, 仍屬. 有南溪河 沽河 宋王峪 桃峪口 統縣一

縉山縣, 本漢廣寧縣地, 唐天寶中割嬀州縣置. 户五千.

유주(儒州) 진양군(縉陽軍) 중(中) 자사(刺史)를 두었다. 당(唐)이 설치하였고 후에 당(唐) 동광(同光) 2년에 신주(新州)에 속했다. 태종(太宗)이 봉성주(奉聖州)로 하였고 이내 유주에 속했다. 남쪽으로 계하(溪河)와 고하(沽河)와 송왕욕(宋王峪)과 도욕구(桃峪口)가 있다. 관할하는 현은 1개이다.

진산현(縉山縣)은 본래 한(漢) 광녕현(廣寧縣) 땅으로 당(唐) 천보(天寶)에 나누어서 규주(嬀州)의 현으로 하였다. 호구수는 5000이다.

공교롭게도 요사지리지는 고수(沽水)가 단주(檀州)가 아닌 서경도(西京道)의 유주(儒州)에 있다고 하였다.

유주(儒州)의 속현이 한 개이므로 그리 크지 않은 주(州)임을 짐작할 수 있고, 유주(儒州)의 속현인 진산현의 연혁을 따져보면 그 위치를 알 수 있을 것이다.

위 기록에서 진산현은 한(漢)의 상곡군 광녕현의 땅이라고 하였다.

그런데 중국역사지도집을 보면 한(漢)의 상곡군 광녕현은 현재 장가구(張家口)이다. 이곳에는 백하(白河)가 흐르지 않는다.

즉, 이는 고수(沽水)가 백하(白河)가 아니라는 말이다.

이제 지도를 참조하여 왜 고수(沽水)가 백하가 되지 못하며, 왜 한서지리지에서는 상건하 지류인 것처럼 기록 했고, 왜 요사지리지에서는 장가구 근처에 고수(沽水)가 있다고 말했는지 알아보자.


우적도

그림1. 우적도


12~13세기에 제작된 것으로 보이는 우적도(禹迹圖)를 보면 습수(현재 상건하)의 하류가 고수(沽水)로 되어 있다.

백하(白河)가 위 지도에 나와 있지 않으므로 뭐라 단정짓기 어렵기는 하지만 위 지도에서 말하는 것은 고수(沽水)가 백하(白河)가 아닐 수도 있다는 것을 보여주는 것이다.

요사지리지에 나온 유주(儒州)는 규주(嬀州)보다 서쪽에 있으며 규주는 대개 오늘날 연경(延慶)에 해당되는데 유주(儒州)가 백하(白河)의 서쪽에 있으므로 유주(儒州)에 있었다고 기록된 고수(沽水)는 백하(白河)가 아닌 것이다.


역대분야지도고금인물사적(歷代分野之圖古今人物事跡)

역대분야지도고금인물사적은 1679년에 제작된 것이다.

그림2. 역대분야지도고금인물사적.


이 지도를 상세히 보기 전에 고수(沽水)에 대한 수경주의 기록부터 검토하고 역대분야지도고금인물사적과 비교하여 보자.

沽河出禦夷鎮西北九十里, 丹花嶺下. 東南流, 大谷水注之. 水發鎮北大谷溪, 西南流, 逕獨石北界. 石孤生, 不因阿而自峙. 又南, 九源水注之. 水導北川, 左右翼注, 八川共成一水, 故有九源之稱. 其水南流至獨石, 注大谷水. 大谷水又南逕獨石西, 又南逕禦夷鎮城西. 魏太和中置, 以捍北狄也. 又東南, 尖谷水注之. 水源出鎮城東北尖溪, 西南流, 逕鎮城東, 西南流, 注大谷水, 亂流南注沽水….중략… 沽水又西南, 逕赤城東.

고하(沽河) 는 어이진(禦夷鎮) 서북쪽 90리 단화령(丹花嶺) 아래에서 나온다. 동남쪽으로 흐르다가 대곡수(大谷水)가 고하(沽河)로 들어간다. 대곡수(水)는 어이진(鎮) 북쪽의 대곡계(大谷溪)에서 발생(發)하여 서남쪽으로 흘러 독석(獨石) 북쪽 경계를 지난다. 독석은 홀로 생겨난 것인데, 언덕으로 말미암지 않고 스스로 우뚝 서있다. 또한 (대곡수는) 남쪽으로 흐르다가 구원수가 대곡수로 들어간다. 구원수는 북천(北川)에서 인도된 것 인데 좌우의 날개 8개의 물줄기들이 합하여 하나의 물을 이루므로 구원(九源)이라 한 것이다. 구원수(其水)는 남으로 흘러 독석(獨石)에 이르러 대곡수(大谷水)로 들어간다. 또한 대곡수는 남쪽으로 독석의 서쪽을 지나며 또한 남쪽으로 어이진 성의 서쪽을 지난다. 위(魏) 태화(太和)에 설치한 것인데 북적(北狄)을 막기 위한 것이다. 또한 (대곡수가) 동남쪽으로 흐르다가 첨곡수(尖谷水)가 (대곡수로) 들어간다. 첨곡수는 어이진(鎮) 성 동북쪽 첨계(尖溪)에서 발원하여 나온 것인데 서남쪽으로 흘러 어이진 성 동쪽을 지나 서남쪽으로 흘러 대곡수로 들어간다. (이렇게 하여) 난류가 일어 남쪽으로 고수(沽水)로 들어간다…중략… 고수(沽水)는 또한 서남쪽으로 흐르다가 적성(赤城)의 동쪽을 지난다.

위 기록에서 말하는 바는 이런데,


고수(沽水)의 지류로 대곡수(大谷水)와 구원수(九原水)가 있는데 이들은 고수(沽水)의 지류로서 독석(獨石)을 지나고 서남쪽으로 흐르다가 고수(沽水)로 들어간다는 것이다. 그러고 나서 고수(沽水)는 서남쪽으로 흐르다가 적성(赤城)을 지난다고 하였다.


따라서 고수(沽水)와 적성은 대략 독석(獨石)의 서남쪽에 있어야 한다.


그렇다면 그림2와 비교하여보자.

그림2를 보면 적성(赤城)을 독석(獨石)의 서쪽지역으로 그려놓았다. 대략보아 수경주의 기록과 일치한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적성(赤城)과 독석(獨石)의 위치이다.

  • 적성(赤城)은 만전(萬全) 근처에 있다. 만전(萬全)은 바로 장가구(張家口) 서쪽으로 양하(洋河)와 상건하가 합류하는 곳이다. 즉 이 근처에 적성(赤城)이 있고 고수(沽水)가 지난다는 말이다.
  • 독석(獨石)의 위치를 보자. 독석(獨石)은 이상하게도 연경(延慶)의 서쪽에 있다. 현재지도와는 전혀 다르다. 현재 지도에는 백하(白河)를 고수(沽水)로 보았기에 독석을 연경(延慶)의 북북서쪽에 위치시켰지만 그림2에서는 북북서쪽으로 볼 수 없다.

 

대청광여도

대청광여도 역시 고수(沽水)가 백하(白河)가 아니라는 것을 보여준다.

그림 3 대청광여도의 양하는 적성을 지난다.


그림3을 보면 적성(赤城)을 현재의 양하(洋河)에 위치시켜놓았다.

이는 아마도 한서에 나온 “우연수가 상곡군 녕현에 이르러 고수로 들어간다”는 기록을 따라 지도를 제작한 것일 수도 있으며 대청광여도를 제작할 당시에 적성(赤城)은 양하(洋河) 주변에 있을 수도 있는 것이다.


근대의 지도에 보이는 흔적

이제 이러한 고수(沽水)의 이체로운 기록이 있으면 그 흔적이 근대의 지도에도 알게 모르게 나타나기 마련이다.

아래 그림은 1898년에 출간된 아세아동부여지도이다.




그림4. 고하구(沽河口)가 상거하와 영정하 사이에 있다.


위 지도에 보면 분명 고하구(沽河口)가 상건하와 영정하 사이에 존재한다.

하구(河口)란 무엇인가?

하천과 하천이 이어지는 지점을 말한다.

즉, 위 지도에서 말해주는 것은 이 부근에 고하(沽河)가 있었고 상건하로 합류되었다는 것을 말해준다.

지금까지 필자가 요사지리지와 한서지리지에서 보여준 기록과 정확하게 일치한다.


진실은 무엇인가?

1534년에 제작된 주변찬의(籌邊纂議)에 첨부된 명대(明代) 구변도(九邊圖)를 보자.


그림 5. 구변도의 고하(沽河)는 상건하와 합류한다


우선 물줄기를 두 개로 그려표시해놓았다.

오른쪽 고북구(古北口)에서 남쪽으로 흘러 밀운(密雲)을 지나는 것은 현재의 조하(潮河)이다.

그리고 왼쪽에 독석성(獨石城)을 지나는 것은 수경주의 기록에 분명 고하(沽河)라고 하였다.


지도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하(沽河)와 조하(潮河)는 합류하지 않고,

고하(沽河)는 적성(赤城)을 지나 어떤 강에 합류하는데, 그 강은 양향현(良鄕縣) 북쪽을 지나고 황도(皇都) 즉 지금의 북경의 남쪽을 지난다. 이는 영정하이다.

조하(潮河)와 합류하는 백하(白河)는 그림5에서 순의(順義)와 통주(通州)를 지나기는 하지만 독석(獨石)까지 상류가 올라가지는 않는다.


따라서 과거의 고하(沽河)는 지금의 조하(潮河)와 합류하지 않았다.

독석에서 발원하여 상건하와 동양하가 만나는 지점에서 합류하였던 것이다.

그렇기 때문에 한서지리지에서는 상건현에 이르러 고수(沽水)로 들어간다는 기록이 존재하는 것이다.


즉, 수경주 권14에 나오는 물길과 현재 물길을 연결시키면 이렇다.


  • 습여수는 온여수라고도 하며 아직도 영정하와 조백신하 사이에 존재한다.
  • 고수(沽水)는 현재 백하(白河)의 상류이고 조하(潮河)와 합류하지 않았으며 상건하와 합류하였다.
  • 포구수(鮑丘水)는 현재 백하(白河)의 하류일 것이다(좀더 연구 필요)
  • 유수(濡水)는 현재 조하(潮河)일 것이다(연구필요)
  • 대요수(大遼水)는 현재 난하일 것이다.(연구필요)
  • 패수(浿水)는 대릉하일 것이다(연구필요)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