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t test
- 기자
- categorical variable
- repeated measures ANOVA
- 신라
- 고구려
- 통계학
- 선형회귀분석
- 우분투
- post hoc test
- 창평
- spss
- Histogram
- 유주
- 후한서
- 패수
- 한서지리지
- linear regression
- 한서
- 풍백
- 기자조선
- R
- ANOVA
- 지리지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통계
- 독사방여기요
- 히스토그램
- 단군
- 낙랑군
- Today
- Total
목록조선사독단/단군조선 (10)
獨斷論
지난번에는 부소량 백아강 오덕지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이야기했는데 이제 각각에 대하여 논하여보고자 한다. 부소량이란 무엇이며 그 역사는 어떠한가? 1) 말뜻 부소량(扶踈樑)이란 우리 옛말로서 '소나무땅' 또는 '소나무나라'라는 뜻이다. 원래 松木을 뜻하던 옛말은 '부소나무'였는데[1] 이것이 도치되어 '소부나무'가 되고 습관상 주격조사 '이'를 붙여 '소부이나무'가 되었고 '이'는 '나'의 영향을 받아 '소부리나무'가 되었다. 그리고 'ㅂ'이 'ㅸ'이 되고 더욱더 'ㅇ'로 변하니 '소우리나무'가 되었다. 부소나무 > 소부나무 > 소부이나무 > 소이나무 > 소리나무 > 소우리나무아직도 우리는 소나무를 '소오리나무'라고 하기도 하는데 소나무의 옛말이 '부소나무'이기때문이다. 그리고 '나라'를 뜻하는 말을 ..
대개 치우가 탁록에서 살해당했다고 알고 있는데 아주 다르게 치우를 청구에서 죽였다는 기록도 보입니다. 周易函書約存卷八 蚩尤出自羊水入肱入趾䟽首登九淖以伐空桑黃帝殺之于青丘 繹史卷五 歸藏蚩尤出自羊水入肱入趾疏首登九淖以伐空桑黃帝殺之於青丘 管城碩記卷二十 蚩尤作亂歸藏啓筮曰蚩尤出自羊水登九淖以伐空桑黄帝殺之於青丘 廣博物志卷九 蚩尤出自羊丘入肱入趾疏首登九淖以伐空桑黄帝殺之於青丘 御定淵鑑函卷五十五 歸藏啓筮曰蚩尤出自羊水入股入趾疏首登九淖以代空桑黄帝殺之於青丘 모두다 똑같은 출처군요 歸藏의 啓筮... 해동역사에서는 이걸 인용하면서 청구는 齊의 밖에 있는 나라라고 했습니다. 기록은 여러가지가 있으니 확실한 유적 유물이 나올때까지 한가지만 고집할 필요가 없다고 봅니다. ○ 황제(黃帝)가 치우(蚩尤)를 청구에서 죽이고 강고곡(棡鼓曲) 10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