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기자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spss
- linear regression
- 선형회귀분석
- t test
- 고구려
- ANOVA
- Histogram
- 패수
- post hoc test
- 우분투
- 유주
- repeated measures ANOVA
- categorical variable
- 한서
- 단군
- 통계학
- 한서지리지
- 창평
- 낙랑군
- 지리지
- 히스토그램
- 독사방여기요
- 풍백
- R
- 신라
- 기자조선
- 통계
- 후한서
- Today
- Total
목록고전모음 (37)
獨斷論
병주(并州) 안문군(鴈門郡) 안문군(鴈門郡), 진(秦)에서 설치하였다. 구주산(句注山)이 음관(隂館)에 있다. 왕망은 전적(填狄)이라 했다. 병주(并州)에 속한다. 가구수는 7,3138이고 인구수는 29,3454명이다. 현은 14개이다. 1) 선무현(善無縣), 망(莽)은 음관(陰館)이라 했다. 2) 옥양현(沃陽縣), 염택(鹽澤)이 동북쪽에 있고 장승(長丞)이 있다. 서부도위(西部都尉)가 다스린다. 왕망은 경양(敬陽)이라 했다. 3) 번치현(繁畤縣), 망(莽)은 당요(當要)라 했다.[1] 4) 중릉현(中陵縣), 망(莽)은 차해(遮害)라 했다. 5) 음관현(陰館縣), 누번향(樓煩鄉)이다. 경제(景帝)가 후원(後元) 3년에 설치했다. 누두산(累頭山)에서 치수(治水)가 나오는데 동쪽으로 흘러 천주(泉州)에 이르..
광양국(廣陽國) 광양국(廣陽國), 고제(髙帝)때에 연국(燕國)이다. 소제(昭帝) 원봉(元鳳) 원년에 광양군(廣陽郡)이 되었다. 선제(宣帝) 본시(本始) 원년(元年)에 고쳐 후국(侯國)으로 하였다. 왕망은 광유(廣有)라고 하였다. 가구수는 2,0740이고 인구수는 7,0658명이다. 현은 4개이다. 1) 계현(薊縣), 옛 연국(燕國)이다. 소공(召公)을 봉한 곳이다. 왕망은 벌융(伐戎)이라 하였다. 2) 방성현(方城縣), 3) 광양현(廣陽縣), 4) 음향현(陰鄉縣), 왕망은 음순(陰順)이라 했다. 廣陽國, 髙帝燕國. 昭帝元鳳元年為廣陽郡. 宣帝本始元年更為國. 莽曰廣有. 戸二萬七百四十, 口七萬六百五十八. 縣四. 薊, 故燕國. 召公所封. 莽曰伐戎. 方城, 廣陽, 陰鄉, 莽曰陰順.
낙랑군(樂浪郡) 낙랑군(樂浪郡), 무제(武帝) 원봉(元封) 3년에 열었다. 왕망은 낙선(樂鮮)이라 했다. 유주(幽州)에 속한다.[1] 가구수는 6,2812이고 인구수는 40,6748명이다. 운장(雲鄣)이 있다. 현은 25개이다. 1) 조선현(朝鮮縣),[2] 2) 염감현(䛁邯縣),[3] 3) 패수현(浿水縣), 패수(水)가 서쪽으로 증지현(増地縣)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 왕망은 낙선정(樂鮮亭)이라고 했다.[4] 4) 함자현(含資縣), 대수(帶水)가 서쪽으로 대방현(帶方縣)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 5) 점선현(黏蟬縣),[5] 6) 수성현(遂成縣), 7) 증지현(增地縣), 망(莽)은 증토(增土)라 했다. 8) 대방현(帶方縣), 9) 사망현(駟望縣), 10) 해명현(海㝠縣), 망(莽)은 해환(海桓)이라 했..
한서 지리지 유주 현토군(玄菟郡) 현토군(玄菟郡), 무제(武帝) 원봉(元封) 4년에 열었다. 고구려현(髙句驪縣) 은 왕망이 하구려(下句驪)로 고쳤으며 유주(幽州)에 속한다.[1] 가구수는 4,5006이고 인구수는 22,1815명이다. 현은 3개이다. 1) 고구려현(髙句驪玄), 요산(遼山)에서 요수(遼水)가 나오는데 서남쪽으로 요동군 요대현(遼隊縣)에 이르러 대요수(大遼水)로 들어간다. 또한 남소수(南蘇水)가 있는데 서북쪽으로 새(塞) 밖을 지난다.[2] 2) 상은태현(上殷台縣), 망(莽)은 하은(下殷)이라 했다.[3] 3) 서개마현(西蓋馬縣), 마자수(馬訾水)가 서북쪽으로 염난수(鹽難水)로 들어가는데, 서남쪽으로 요동군 서안평현(西安平縣)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간다. (이 강은) 2개의 군(郡)을 지나고 ..
요동군(遼東郡) 요동군(遼東郡), 진(秦)에서 설치하였고 유주(幽州)에 속한다. 가구수는 5,5972이고 인구수는 27,2539명이다. 현은 18개이다. 1)양평현(襄平縣), 목사관(牧師官)이 있다. 왕망은 창평(昌平)이라 했다. 2)신창현(新昌縣), 3)무려현(無慮縣), 서부도위(西部都尉)가 다스린다.[1] 4)망평현(望平縣), 대요수(大遼水)가 새(塞) 밖을 나와서 남쪽으로 안시현(安市縣)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가는데 1250리를 흐른다. 왕망은 장설(長說)이라고 했다.[2] 5)방현(房縣), 6)후성현(候城縣), 중부도위(中部都尉)가 다스린다. 7)요대현(遼隊縣), 망(莽)은 순목(順睦)이라 했다.[3] 8)요양현(遼陽縣), 대량수(大梁水)가 서남쪽으로 요양현(遼陽縣)에 이르러 요수(遼水)로 들어간다..
요서군(遼西郡) 요서군(遼西郡), 진(秦)에서 설치하였다. 작은 강들이 48개이고 모두 합쳐 3416리를 흘러간다. 유주(幽州)에 속한다. 가구수는 7,2654이고 인구수는 35,2325명이다. 현은 14개이다. 1)차려현(且慮縣), 고묘(高廟)가 있다. 왕망은 서려(鉏慮)라고 하였다.[1] 2)해양현(海陽縣), 용선수(龍鮮水)가 동쪽으로 봉대수(封大水)로 들어간다. 봉대수(封大水)와 완허수(緩虚水)는 모두 남쪽으로 바다로 들어간다. 염관(鹽官)이 있다. 3)신안평(新安平), 이수(夷水)가 동쪽으로 새(塞) 밖으로 들어간다. 4)유성현(栁城縣), 마수산(馬首山)이 현의 서남쪽에 있다. 참류수(參栁水)가 북쪽으로 海로 들어간다. 서부도위(西部都尉)가 다스린다. 5)영지현(令支縣), 고죽성(孤竹城)이 있다...
신채호 지음 동양의 고사를 연구하려면 반드시 조선 고문화의 원류를 탐색치 않고는 도저히 史의 근거와 사의 진수와 사의 체계와 통지(統志)를 작성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면 조선 고문화를 강구(講究)함에는 먼저 조선 구강(舊疆)의 판도 범위부터 획정(劃定)하여야 되리니 고대 문헌의 고증을 어디서 찾아낼 것이냐? 신지(神誌)의 구변진단도(九變震壇圖)가 전하지 못하고 단군 계통의 부여가 조업(祖業)을 계승하여 만몽대륙에서 혁혁문화(赫赫文化) 1천년을 발양(發揚)하여 오다가 춘추 열국 시대에 미쳐서 한족(漢族)과 전쟁을 일으켜 혹승혹패(或勝或敗)하며 장기간에 걸친 전운이 식녕(息寧)의 날이 없더니 제환공(齊桓公) 때에 와서는 조선족의 쇠운기라 패적(敗蹟)이 날로 많으매 만몽(滿蒙) 서남부에 사는 조선족의 근거가..
차 례=======三國史記卷第一.三國史記卷第二.三國史記卷第三.三國史記卷第四.三國史記卷第五.三國史記卷第六.三國史記卷第七.三國史記卷第八.三國史記卷第九.三國史記卷第十.三國史記卷第十一.三國史記卷第十二.三國史記卷第十三.三國史記卷第十四.三國史記卷第十五.三國史記卷第十六.三國史記卷第十七.三國史記卷第十八.三國史記卷第十九.三國史記卷第二十.三國史記卷第二十一.三國史記卷第二十二.三國史記卷第二十三.三國史記卷第二十四.三國史記卷第二十五.三國史記卷第二十六.三國史記卷第二十七.三國史記卷第二十八.三國史記卷第二十九.三國史記卷第三十.三國史記卷第三十一.三國史記卷第三十二.三國史記卷第三十三.三國史記卷第三十四.三國史記卷第三十五.三國史記卷第三十六.三國史記卷第三十七.三國史記卷第三十八.三國史記卷第三十九.三國史記卷第四十.三國史記卷第四十一.三國史記卷第四十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