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 R
- 패수
- 풍백
- 고구려
- ANOVA
- t test
- 통계
- 기자조선
- 신라
- repeated measures ANOVA
- post hoc test
- Histogram
- 유주
- 낙랑군
- 후한서
- spss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우분투
- 한서
- 히스토그램
- 한서지리지
- 선형회귀분석
- 기자
- 창평
- 통계학
- categorical variable
- 지리지
- 독사방여기요
- 단군
- linear regression
- Today
- Total
목록유주 (13)
獨斷論
유주(幽州) 어양군(漁陽郡) 어양군(漁陽郡), 진(秦)이 설치하였다. 왕망은 통로(通路)라 하였다. 유주(幽州)에 속한다. 가구수는 6,8802이고 인구수는 26,4116명이다. 속한 현은 12이다. 1)어양현(漁陽縣), 고수(沽水)가 새(塞) 밖으로부터 출발하여 동남쪽으로 흘러 어양군 천주현(泉州縣)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가는데 750리를 흐른다. 철관(鐵官)이 있다. 왕망은 득어(得漁)라고 했다. 2)호노현(狐奴縣), 망(莽)은 거부(舉符)라 했다. 3)노현(路縣), 망(莽)은 통로정(通路亭)이라 했다. 4)옹노현(雍奴縣), 5)천주현(泉州縣), 염관(鹽官)이 있다. 망(莽)은 천조(泉調)라고 했다. 6)평곡현(平谷縣), 7)안락현(安樂縣), 8)제해현(厗奚縣), 망(莽)은 돈덕(敦徳)이라 했다.[1]..
한서 유주 상곡군(上谷郡) 상곡군(上谷郡), 진(秦)에서 설치하였다. 왕망이 말하기를 삭조(朔調)라 하였다. 유주(幽州)에 속한다. 가구수는 3,6008이고 인구수는 11,7862명이다. 속한 현은 15개이다. 1)저양현(沮陽縣), 왕망이 말하기를 저음(沮陰)이라 했다.[1] 2)천상현(泉上縣), 왕망이 말하기를 새천(塞泉)이라 했다. 3)반현(潘縣), 왕망이 말하기를 수무(樹武)라 했다.[2] 4)군도현(軍都縣), 온여수(溫餘水)가 동쪽으로 흘러 어양군 로현(路縣)에 이르러 남쪽으로 고수(沽水)로 들어간다. 5)거용현(居庸縣), 관(關)이 있다. 6)구무현(雊瞀縣),[3] 7)이여현(夷輿縣), 왕망이 말하기를 삭조정(朔調亭)이라 했다. 8)영현(寧縣), 서부도위(西部都尉)가 다스린다. 왕망이 말하기를 ..
한서 유주 대군(代郡) 대군(代郡), 진국(秦國)에서 설치하였다. 왕망이 말하기를 염적(厭狄)이라 하였다. 오원관(五原關)과 상산관(常山關)이 있다. 유주(幽州)에 속한다.[1] 가구수는 5,6771이고 인구수는 27,8754명이다. 속한 현은 18개이다. 1)상건현(桑乾縣), 왕망이 말하기를 안덕(安徳)이라 했다.[2] 2)도인현(道人縣), 왕망이 말하기를 도인(道仁)이라 했다.[3] 3)당성현(當城縣),[4] 4)고류현(高栁縣), 서부도위(西部都尉)가 다스린다. 5)마성현(馬城縣), 동부도위(東部都尉)가 다스린다. 6)반씨현(班氏縣), 진지도서(秦地圖書)에서 반씨(班氏)라 했고 왕망은 반부(班副)라고 했다. 7)연릉현(延陵縣), 8)의씨현(狋氏縣), 왕망이 말하기를 의취(狋聚)라 했다.[5] 9)차여..
한서 지리지 유주 발해군(勃海郡), 고제(高帝)가 설치하였다. 왕망이 말하기를 영하(迎河)라고 하였다. 유주(幽州)에 속한다.[1] 가구수는 25,6377이고 인구수는 90,5119이다. 현은 26개이다. 1)부양현(浮陽縣), 왕망이 말하기를 부성(浮城)이라 하였다. 2)양신현(陽信縣), 3)동광현(東光縣), 호소정(胡蘇亭)이 있다. 4)부성현(阜城縣), 왕망이 말하기를 오성(吾城)이라 했다.[2] 5)천동현(千童縣),[3] 6)중합현(重合縣), 7)남피현(南皮縣), 왕망이 말하기를 영하정(迎河亭)이라고 했다.[4] 8)정현(定縣), 후국(侯國)이다. 9)장무현(章武縣), 염관(鹽官)이 있다. 왕망이 말하기를 환장(桓章)이라 했다. 10)중읍현(中邑縣), 왕망이 말하기를 검음(檢隂)이라 했다. 11)고성..
한서(漢書) 유주(幽州) 탁군(涿郡) 涿郡, 高帝置. 莽曰垣翰. 屬幽州. 戸十九萬五千六百七, 口七十八萬二千七百六十四. 有鐡官. 縣二十九. 涿, 桃水首受淶水, 分東至安次入河.[1] 逎, 莽曰逎屛.[2] 榖丘, 故安, 閻鄉, 易水所出, 東至范陽入濡也. 并州䆮. 水亦至范陽入淶.[3] 南深澤, 范陽, 莽曰順陰.[4] 蠡吾,[5] 容城, 莽曰深澤. 易, 廣望, 侯國. 鄭, 莽曰言符.[6] 高陽, 莽曰高亭.[7] 州鄉, 侯國. 安平, 都尉治. 莽曰廣望亭. 樊輿, 侯國. 莽曰握符. 成, 侯國. 莽曰宜家. 良鄉, 侯國. 垣水南東至陽鄉入桃. 莽曰廣陽. 利鄉, 侯國. 莽曰章符. 臨鄉, 侯國. 益昌, 侯國. 莽曰有祑[8]. 陽鄉, 侯國. 莽曰章武. 西鄉, 侯國. 莽曰移風. 饒陽,[9] 中水,[10] 武垣, 莽曰垣翰亭.[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