獨斷論

단군조선시대에 부여국의 위치 본문

조선사독단/단군조선

단군조선시대에 부여국의 위치

부르칸 2012. 9. 17. 17:06

우리 역사상 “부여”라는 이름을 가진 나라가 대략 4개가 있다.

  • 하나는 단군조선이 그의 아들 부여에게 봉한 옛 부여가 있고(이하 옛부여 통칭)
  • 둘째는 해모수가 건국했다는 북부여가 있으며
  • 셋째는 해부루가 북부여 땅에서 동쪽으로 이동한 동부여가 있으며
  • 넷째는 백제가 남한(南韓) 땅으로 이동하여 국명을 바꾼 남부여가 있다.

간혹 두 번째 북부여와 세번째 동부여를 서로 같은 나라라 하기도 하는 사람들이 있는데, 이는 부여를 잘못 이해한 까닭이다. 그들은 말하기를 해부루가 세운 부여의 이름은 동부여인데 고구려 북쪽에 있었기에 고구려 사람들이 북부여라 불렀다고 한다. 그들이 이렇게 헷갈리는 이유는 북부여에 대한 기록이 삼국유사에 잠깐 나오고 삼국사기 고구려본기에는 북부여와 동부여를 헷갈리기 기록하였으며 중국사서에는 북부여의 존재조차 거론하지 않았기 때문이다. 중국사서에 나오는 부여성과 부여로와 부여부 등의 위치는 대개 동부여의 위치이다(길림 농안시라고들 말한다).


그러나 삼국사기에 “압 록강 이북에 항복하지 않은 성으로 북부여성주(北扶餘城州)가 나오며 이는 본래 조리비서(助利非西)이다”라고 하였다. “助利”란 “절”로 읽으며 고구려 사투리로 뒤쪽 즉 북쪽이라는 말인데 오늘날 뒤쪽을 가리키는 “치(뒷간의 다른 말 칫간)”라 하는데 “절”은 아마 “치”의 전음(轉音)일 것이다. 非西란 아마도 “부셔” 혹은 “비셔”로 읽혔을 것인데 당연히 “부여”의 전음(轉音)이다. 따라서 동부여와 북부여는 엄연히 다른 나라인 것이다.


그렇다면 왜 고구려 북쪽에 있었던 동부여는 북부여라 하지 않고 동부여라 했으며 고구려 서북쪽에 있었던 북부여는 왜 서북부여라 하지 않고 북부여라 했는지를 단군조선 시대의 봉국인 옛부여의 위치를 대략 살펴봄으로써 북부여와 동부여가 이름 붙여진 이유에 대해서 살펴보고자 한다.


1) 단군조선이 봉한 옛부여

부여의 최초 건국은 해모수가 건국한 북부여가 아니라 댕구란검(檀君王儉)이 그의 아들 부여에게 평양성 서쪽에 봉한 옛부여이다.

<<규원사화>>

夫蘇夫虞及少子夫餘, 皆封于國西之地, 句麗眞番夫餘諸國是也.

부소와 부우 및 작은 아들인 부여는 모두 나라의 서쪽 땅에 봉하니, 구려(句麗)와 진번(眞番) 및 부여(夫餘) 등의 여러 나라가 바로그것이다.

그런데 잔멸된 우리역사서와 왜곡된 중국역사서를 이용하여 이 옛부여에 대한 위치를 알아내기에는 좀 어려움이 있다. 그러나 나라의 명칭이라는 것은 국가가 망하더라도 후대로 계속 이어져오는 습성이 있어서 언어가 다른 나라가 점령하더라도 음이 비슷하게 전해지던지 뜻이 비슷하게 전해지던가 하여 소멸된 나라의 위치를 대략이나마 알 수가 있는 것이다.

단군조선 평양이 대개 요하 부근이므로 요하 서쪽에서 옛부여의 흔적을 찾아보면

<<欽定大清一統志卷二十八>>

富峪故城, 在平泉州北. 明初築置衛, 永樂初廢.

옛 부욕성(富峪城)은 평천주(平泉州) 북쪽에 있다. 명(明) 초기에 쌓아 위(衛)를 설치하였고 영락(永樂)초에 폐하였다.

이곳은 요(遼)의 부유관(富谷館)[1]이었던 것 같다.

<<遼史卷三十九>>

牛山館八十里至鹿兒峽館過蝦蟆嶺九十里至鐵漿館過石子嶺自此漸出山七十里至富谷館八十里至通天館二十里至中京大定府.

우산관(牛山館)에서 80리를 가면 록아협관(鹿兒峽館)에 이르고 하마령(蝦蟆嶺)을 지나 90리를 가면 철장관(鐵漿館)에 이르고 석자령(石子嶺)을 지나 그곳으로부터 산을 나와 70리를 가면 부유관(富谷館)에 이르고 80리를 가면 통천관(通天館)에 이르며 20리를 가면 중경 대정부에 도달한다.

요사에 처음 나오는 부유관(富谷館)의 연혁은 자세하지 않은 것은 예전의 이름을 그대로 답습한 것이다. 이는 예부터 이곳에 부여의 터이기 때문이리라.

여기서 富峪은 우리나라 발음으로는 “부욕”이지만 중국발음으로는 “fuyu”이니 이는 “부유” 즉 “부여”를 말하는 것일 수 있으며, 역시 부유(富峪)란 이름도 富谷에서 온 것이니 富峪도 “부여”를 말하는 것이다. 왜 그런가? 중국인들이 “부여”를 말할 때 “부유”로 말한 흔적이 보인다.

<<宋史卷四百九十一>>

六年賜烏舎城浮渝府渤海琰府王詔曰

태평흥국 6년에 오사성(烏舎城) “浮渝府” 발해(渤海) 염부왕(琰府王)에게 조서를 내려 말하기를

여기서 浮渝府에 대하여 만주원류고에서는 이렇게 주석하였다.

<<欽定滿洲源流考卷六>

案渤海無浮渝府當即夫餘府音近而訛

생각해보니, 발해에는 浮渝府가 없는데 당연히 夫餘府가 되어야 한다. 음이 비슷하여 틀린 것이다.

여기서 浮의 중국발음은 “fu”이고 渝의 발음은 “yu”이다. 즉 부여부를 부유부로 쓴 것이니 위에 요사와 대청일통지에 나오는 “부유관”과 발음이 일치한다.

발음만 비슷하다고 하여 부여가 될 수 없으므로 그 연혁을 살펴 과연 “부유”가 “부여”의 전음(轉音)인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2) 평천주의 연혁

이제 부유성(富峪城)의 연혁을 살펴보면 대청일통지에 평천주(平泉州) 북쪽에 있다고 하였으므로 대략 평천주 근처에서 과거에 부유(富峪)와 비슷한 발음이 있는 지명이 있는지 찾아보면 된다.

<<欽定大清一統志卷二十六>>

平泉州, …중략… 漢至晉與府同, 後燕復國屬平州尋改營州, 北魏為營州建徳郡陽武縣冀陽郡平剛縣北

여기서 보면 평천주는 위(魏)의 건덕군 양무현과 기양군 평강현의 북쪽이라고 하였다.

위서(魏書)에서 건덕군과 기양군을 찾아보면 기양군은 연혁이 없고 건덕군은 아래와 같다.

<<위서>>

建徳郡, 真君八年置治白狼城…중략…石城, 前漢屬右北平後屬真君八年併遼陽路大樂屬焉有白鹿山祠.. 廣都, 真君八年併白狼建徳望平屬焉有金紫城. 陽武, 正光末置有三合城

건덕군(建徳郡) 진군(真君) 8년에 설치하였고 백랑성(白狼城)에서 다스린다…중략…

석성현(石城縣), 전한(前漢)에서는 우북평(右北平)에 속했는데 후에 속하였다. 진군(真君) 8년 료양(遼陽)과 로(路)와 대악(大樂)을 병합하고 속하였다. 백록산(白鹿山) 사(祠)가 있다.

광도현(廣都縣), 진군(真君) 8년 백랑(白狼) 건덕(建徳) 망평(望平)을 병합하여 속하였다. 김자성(金紫城)이 있다.

양무현(陽武縣), 정광(正光) 말년에 설치하였고 삼합성(三合城)이 있다.

앞서 대청일통지에 부유관이 딱히 어디에 속해 있다고 하지 않고 평천주 북쪽에 있다고 하였으므로 평천주의 과거 연혁 중에 “부유”와 비슷한 발음이 있으면 그에 해당되는 것이다.

위서(魏書) 건덕군에는 석성현(石城縣)이 있으며 이 곳은 전한(前漢)의 우북평(右北平)이며 백록산(白鹿山) 사(祠)가 있다고 하였다. 또한 건덕군의 치소가 백랑성(白狼城)이라고 하였다.


백록산(白鹿山)...

이는 수경주에서 “北屈逕白鹿山西, 即白狼山也”라 하여 백랑산(白狼山)이라고도 하는 산이다.

즉, 전한(前漢)의 우북평군 백랑현이 곧 위(魏)의 건덕군 치소이고 청나라의 평창주가 되는 것이다.


3) 백랑(白狼)이 어떻게 부여(扶餘)가 되는가?

白狼 혹은 白鹿을 문자 그대로 풀이하면 “흰 이리”와 “흰 사슴”이다.

그런데 왜 문자의 뜻이 같지 않은 명칭을 같은 산을 지칭하는 이름으로 삼았는가?

이는 白狼과 白鹿은 훈역(訓譯)한 것이 아니라 음역(音譯)한 것이기 때문일 것이다.

이제 백록산(白鹿山)의 다른 이름을 찾아보자.

<<欽定大清一統志卷二十七>>

布祜圖山, 在建昌縣屬喀喇沁左翼東三十里, 即古白狼山也. 漢名鹿山, 漢書地理志白狼縣有白狼山故以名縣.

포호도산(布祜圖山), 건창현(建昌縣) 객라심좌익(喀喇沁左翼) 동쪽 30리에 있는데, 즉 옛날의 백랑산(白狼山)이며 한(漢)에서는 록산(鹿山)이라 하였고 한서지리지에는 백랑현(白狼縣)에 백랑산이 있는데 따라서 백랑현이라 한 것이다.

같은 산인데 시대에 따라 이름이 참 많이도 변했다.

백랑산(白狼山) 혹은 백록산(白鹿山) 혹은 록산(鹿山) 혹은 포호도산(布祜圖山)

모두 같은 이름인 것이다.

이제 위 4개의 이름이 정작 뜻하는 바는 “사슴”이라는 뜻이다.

한(漢)에서는 록산(鹿山)이라 하였는데 이름 그대로 사슴산이라는 말이며

이에 의미를 더하거나 발음이 변하여 백록산 혹은 백랑산이 된 것이다.

그리고, 포호도산(布祜圖山)이란 의미를 찾아보면 아래와 같다.

<<欽定遼史語解>>

布呼滿洲語鹿也卷一作怖胡

포호(布呼) 만주어(滿洲語)로 사슴이란 말이다. 권1에서는 포호(怖胡)로 썼다.


<<欽定金史語解卷五>>

布呼鹿也卷一百三作不灰地名

포호(布呼)는 사슴이라는 말이다. 권103에서는 부회(不灰)로 썼는데 지명이다.

모두 역시 사슴산이라는 말이다.

자치통감 권97 晉紀 永和 2년(346년)조에 “初 夫餘居于鹿山 爲百濟所侵”라 하였는데 즉 “처음에 부여는 록산(鹿山)에 살았는데 백제에게 침략당하여”라고 하였다. 고대에 국가명은 대개 도읍지의 유명 하천이나 산 이름을 따서 짓는 경우가 많으므로 부여의 거주하던 곳이 곧 “사슴산”을 뜻하는 鹿山(록산)임을 알 수 있으며 부여가 곧 사슴을 뜻하는 고대어임을 알 수 있다.

한서지리지에 보면 왕망은 백랑현이 부여의 옛 지역이라는 것을 특이하게 나타내었다.

白狼, 莽曰伏狄

백랑현, 왕망이 복적(伏狄)으로 바꾸었다.

여기서 伏의 우리말 발음은 “복” 이지만 현대 중국인의 발음은 fu이다. 이는 우리말 “부”와 같은 것인데 왜냐하면 우리말의 파열음 중에 유성음이 단어의 첫머리에 나타나면 무성음으로 변하여 “부여”라 발음하면 외국인들은 “푸여”로 듣는다. “부산”을 영어로 옛날에 “Pusan”으로 표기한 것도 이와 같은 이치때문이다.

왕망이 白狼(백랑)을 伏狄(부적)이라 한 것은 곧 “부여적(扶餘狄)”을 표현한 것이며 이 곳이 곧 단군시대의 봉국인 옛부여가 되는 것이다.

즉, 북부여란 단군조선이 봉한 옛부여의 북쪽에 있었기에 북부여라 한 것이고,

동부여란 북부여가 해모수에 의하여 동쪽으로 쫓기고 난 다음에 동부여라 한 것이다. 따라서 고구려 북쪽의 부여는 곧 동부여이다.




-----------------------------------------------------

[1] 강희자전에서 兪玉切竝音欲이라 하였으니 欲의 중국식 발음을 따라 “유”라 하였다.

Commen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