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우분투
- 기자
- 고구려
- 선형회귀분석
- spss
- repeated measures ANOVA
- 지리지
- 통계학
- 기자조선
- 낙랑군
- R
- 유주
- linear regression
- 패수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Histogram
- 단군
- categorical variable
- 한서지리지
- 신라
- ANOVA
- 창평
- 풍백
- t test
- 한서
- 독사방여기요
- 히스토그램
- 통계
- post hoc test
- 후한서
- Today
- Total
목록독단론 (438)
獨斷論
우분투에서 파이어폭스의 스크롤바가 너무 좁아서 사용하기 너무 불편한데 파이어폭스의 스크롤바를 넓게 하는 해결방법은 다음과 같다.우선 관리자계정으로 텍스트편집기를 연다. 여러가지 편집기가 있지만 gnome이나 unity라면 gedit를 이용한다.터미널을 열고 user@user~$ sudo gedit /usr/share/themes/Ambiance/gtk-3.20/gtk-widgets.css 파일이 열리면 아래 부분을 잘 찾아서 min-width를 원하는 만큼 크게 한다. 10px정도로 하면 충분하다. 좀더 크게 하고 싶다면 더 큰 숫자를 넣어도 좋다. .scrollbar.vertical slider, scrollbar.vertical slider { min-height: 15px; min-width: 10..
http://tenq.kr/xe/speaking 1 상황별 대화 듣기를 통한 영어회화 학습 사이트 AudioEnglishhttp://www.audioenglish.org/ 4 각종 영영사전을 한 곳에서 이용할 수 있는 Gary\'s Dictionaryhttp://www.garyshome.net/search/ 8 그림으로 영어 단어를 공부할 수 있는 Visual Dictionary 사이트http://www.ikonet.com/en/visualdictionary/ 11 영어작문 학습사이트 모음 나의 영어 문장을 자동으로 첨삭해주는 프로그램 Ginger Proofreaderhttp://www.getginger.kr/ 13 영어문법 학습사이트 모음 만화로 배우는 영어 문법 The Oatmealhttp://the..
첫번째 연습곡으로 John Blow의 Air라는 곡반주음악도 있으니깐 따라하면 됨. 도#(C#5)는 T 12-|45--로 할수도 있지만 6번째구멍을 반만 막아야지만 제대로 된 음을 낼수가 있다(T 12-|456-) 빠르기 80: 빠르기 100:
알토 리코더 매일 연습을 위한 etude..바장조(F major) 연습곡 악보scale, interval, arpeggio, clarke 등등 메트로놈을 켜놓고 느리게 연습하다가 손가락에 익숙해지면 점점 빠르게...
신당서와 구당서에 아주 요상한 구절이 있다. 구당서 事靈星神日神可汗神箕子神 고구려는 영성신 태양신 가한신 기자신을 섬긴다 신당서 祀靈星及日箕子可汗等神 고구려는 영성신 태양신 기자신 가한신 등에 제사를 지낸다 箕子可汗이 箕子와 可汗이냐 아니면 그냥 箕子可汗이냐에 혈전을 벌이기도 하지만 그건 중요하지 않다.이병도는 위 요상한 구절에 "箕子朝鮮 시대의 始祖 假飾說에서 숭배되어 온 遺習"이라고 주석하였지만 너무 생각 없고 무책임하다. 학자로서 곰곰히 따져보지 않는 산물의 주석이다. 재야학자들은 이런 이상한 구절이 나올때마다 중국이 변조한 것이라고 하지만 이건 더 무책임한 발언이다. 자신들 입맛에 맞지 않으면 변조라고 말하는것 자체가 이제 식상한 시대가 되었다. 지난 두 회(1회, 2회)에서 箕子기자란 풍신의 순..
기자조선의 왜곡에 대해서 알아보기 전에 단군의 의미를 알아보는 것이 필요하다. 단군은 하늘이란 의미 모든 나라의 역사가 그러하듯이 역사의 시초는 하늘과 관계가 있다. 그런데 우리민족이나 몽골계통의 역사에서 하늘은 둥글다는 관념을 가졌던 것 같다. 《頤齋遺藁》卷二十五, 〈華音方言字義解〉 北虜呼天曰祁連、而韃靼猶呼統格落。統格落者卽我東呼圓之辭。蓋我東呼圓曰斗應斤來、是與韃靼語相近、而所謂格落卽祁連之轉音、况天形圓乎。蒙古卽韃靼古匈奴部種。故言語之傳在我東者亦鑿鑿如此。又攷漢書匈奴呼天曰撑黎、呼子曰孤塗。此其爲單于之尊稱而呼天者。 북로(北虜)는 하늘을 기련(祁連)이라 하고, 달달(韃靼은 이와 비슷하게 통격락(統格落)이라 한다. 통격락(統格落)이라는 것은 즉 우리말에서 圓(원)을 말하는 것이다. 대개 우리말에 圓을 둥글(斗應斤來)이라..
공기의 흐름에는 대개 2가지가 있는데 자연적으로 부는걸 '바람'이라하고 인공적으로 만들어진걸 '기'라고 하였다. 현재는 구분하지 않고 '기'라는 말은 사라진 고어가 되어버렸다. 하지만 그 흔적어는 남아 있는데키: 바람을 일으켜 곡식을 까부르는걸 '키'라 하는데 공교롭게 箕라는 글자이다. 게트림: 여기서 '게'는 공기를 의미하며 '트림'이란 트였다는 말이다. 이는 가트림, 개트림, 그트럼, 기트름 등 여러가지 사투리가 존재하는데 '게', '기', '가', '개', '그' 등으로 변한다. 모두 인위적으로 만들어진 공기의 흐름을 말한다. 기ㅊ다: 요즘은 기침을 하다고 하지만 옛날에는 기침을 기ㅊ이다라고 하였다. 꿈을 꾸다나 잠을 자다와 같이 동족목적어를 갖는 말인데 기침을 기ㅊ이는 것은 공기를 흐르게 하는 것..
밭다리는 바깥다리의 준말이고, 밭사돈은 바깥사돈의 준말이라고 나와있지만 틀렸다. 바깥은 줄이면 '밖'이지 '밭'이 되지 않는다. 근데 왜 밭다리 밭사돈이라는 말이 존재하게 되었을까? 1980년대 교과서에도 밧다리라고 표기되었다. 밖[外]는 19세기까지만 해도 그 발음이 밧(外)이었다. 이 말은 ㄱ곡용하는 언어로 밧그로(밖으로), 밧게서(밖에서), 밧게(밖에) 등으로 사용되었다. 따라서 현재 바깥다리와 바깥사돈의 옛말은 '밧다리'와 '밧사돈'이다. 그런데 밧이라는 말이 밖으로 바뀜으로 말미암아 우리가 통상적으로 부르는 밧다리와 밧사돈은 그 어원의 발음이 바뀌었고 그걸 알지못하는 대중들은 이를 밖다리와 밖사돈이라 부르지 아니하고 계속 밧다리와 밧사돈이라고 불렀다. 그런데 표준어를 만들면서 없어진 말 '밧'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