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독사방여기요
- spss
- post hoc test
- 한서
- 유주
- 신라
- 기자
- 낙랑군
- ANOVA
- R
- 우분투
- 기자조선
- 고구려
- linear regression
- 선형회귀분석
- repeated measures ANOVA
- t test
- 한서지리지
- 창평
- categorical variable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통계학
- Histogram
- 후한서
- 지리지
- 단군
- 히스토그램
- 패수
- 통계
- 풍백
- Today
- Total
목록어원연구 (32)
獨斷論
朝鮮(조선)은 무슨뜻인가? 그 어느 누구도 명확한 해답을 주지 못하고 있으며 대개 朝鮮(조선)이란 첫도읍의 이름인 '아사달'을 따라 아침을 뜻하는 朝를 썼다고 하지만, 이런 해석은 고대에 우리나라 지방명을 漢語(한어)로 번역하여 썼다고 결론내려야만 한다. 그러나 경덕왕 이전만 하더라도 우리나라의 지방명은 대개 음차이며 朝鮮(조선)이란 이름이 尙書(상서)에 처음 나오는 것으로 봐서 이는 漢譯(한역)이 아니라 음차이어야만 한다. 내가 생각하기에 朝鮮이란 우리고유어를 음차한 글자로서 쉽게 한자어로 쓰면 鳥白國(조백국)의 뜻이며 혹 鳳凰白國(봉황백국)이라고 해도 될 것이다. 그 이유를 우선 쉽게 생각할 수 있는 鮮자로부터 알아보기로 하자. 鮮(선)의 뜻 어느시댄가 단군왕검이 나라를 세우고 자신에게 신성을 부여하..
사람의 몸에서 약한 부분 가운데 하나는 허리인데 그 어원은 대개 허(虛)한 곳이라는 뜻으로 '虛이'라 할수도 있겠다. 이는 아래와 같은 음운변화를 거쳐 오늘날 허리가 되었다고 본다. 虛이 > 헛이 > 허디 > 허리 허리와 비슷한 말로 '허구리'있는데 이 역시 '虛구리'로 해석할수 있으며 사투리에서는 허구리를 허구레라고도 한다. 즉, 허리와 허구리와 허구레는 모두 물건의 잘록한 장소나 부분을 나타내는 말로 '虛리', '虛구리', '虛구레'로 볼수 있다. 그렇다면 산꼭대기의 주변은 뭐라 할수 있을까? 꼭대기를 중세국어세서 '곡'라 한것을 고려한다면 산꼭대기의 주변은 '곡구레', '곡구리', '곡리'가 될수 있을 것이며, 공교롭게도 첫음절 '곡'이 한자어 高와 비슷하므로 인하여 '高구레', 高구리', '高리..
화백이란 상의한다는 말의 만주어와 발음이 유사하다... 요사국어해 권2 赫伯(혁백)... 만주어로 상의한다는 말이다. 권31에서는 合不(합불)이라고 썼다. 赫貝巴納(혁백파납)... 만주어로서 赫貝(혁패)는 상의한다는 말이고 巴納(파납)은 지방이라는 말이다. 권31에서는 合不頻尼라고 썼다. 欽定遼史語解卷二 赫伯...滿洲語商議也, 卷三十一作合不 赫貝巴納...滿洲語赫貝啇議也, 巴納地方也, 卷三十一作合不頻尼. 이외에도 비슷한 구절들이 존재한다.... 해석은 각자 알아서 하시길... 欽定遼史語解卷三 赫伯...滿洲語商議也卷三十二作紇便 欽定遼史語解卷八 赫伯舍...滿洲語令其商議也卷十六作曷不式又卷一百十五作曷不吕係一人併改 赫伯...滿洲語商議也卷二十八作痕孛 欽定金史語解卷四 赫伯...商議也卷六十七作劾保村名 欽定金史語解卷十一 ..
어릴적 자두(紫桃)는 생소한 말이었지만 지금은 아주 많이 쓰이고 있다. 내가 살던 곳에서는 자두를 "옹아"라 했다. 李는 한자사전에 "오얏 리"이라고 했다. 그래서 사람들은 자두의 옛이름이 "오얏"이라고 한다. 하지만 李는 오얏이 아니라 "오야"라고 해야 옳다. 옥편에 나온 "오얏 리"의 'ㅅ'은 사이시옷으로 봐야 옳다. 토종자두라고 하면서 가끔 보이는 "고야"도 결국 "오야"의 첫소리 "오"가 같은 목구멍소리 "고"로 바뀐 것에 지나지 않는다. 그리고 "오야"를 내가 살던 지방에선 더 재밌게 "옹아"라고 불렀던 것 같다. 결국 자두의 옛이름은...오얏이 아니라... "오야 = 고야 = 옹아"라고 봐야 옳다.
보통 "한"이라 하면 그 뜻을 多으로만 생각하는 경향이 있다. 하지만 꼭 그렇지 않으므로 주의해야한다. 계림유사를 보면 漢으로 음차한 것 가운데 白의 뜻이 있음을 알 수 있다. 白米曰漢菩薩 이건 "흰쌀"을 漢菩薩(한보살)로 음차했다는 말이다. 중세국어 표기를 빌리자면 "흰"은 ""이고 "쌀"은 ""이므로 ""을 漢(한)로 음차하고 ""을 菩薩로 음차했음을 알수 있다. 銀曰漢歲 여기선 "은(銀)"을 漢歲(한세)라고 음차했는데 오늘날말로 "흰쇠"이며 중세국어 표기를 빌리면 역시 "쇠"임을 알수 있다. 즉, 漢은 白의 뜻으로도 쓰였다. 그리고 현대국어의 'ㅎ'의 음가는 고대국어에서 'ㅅ'과 'ㅋ(ㄱ)' 그리고 심지어는 'ㅂ(ㅍ)'에서 분립되었다는 것을 고려한다면 漢으로 음차된 고대국어의 지명이나 인명..
순우리말 가루 - 딱딱한 물건을 보드라울 정도로 잘게 부수거나 갈아서 만든 것. 거루 - 돛이 없는 작은 배. 거룻배 고루 - 차이가 없이 엇비슷하거나 같게 골고루 - 고루고루 그러루 - 대게 정도나 형편따위가 그러한 모양 그루 - 그루터기. 풀이나 나무 따위의 아랫동아리. 또는 그것들을 베고 남은 아랫동아리. 나루 - 강이나 내, 또는 좁은 바닷목에서 배가 건너다니는 일정한 곳. 두루 - 골고루 빠지없이 마루 - 등성이를 이루는 지붕이나 산 따위의 꼭대기. 모루 - 대장간에서 불린 쇠를 올려놓고 두드릴 때 받침으로 쓰는 쇳덩이. 벼루 - 먹을 가는 데 쓰는 문방구. 벼루 - 강가나 바닷가에 있는 벼랑 부루 - 한꺼번에 없애지 아니하고 오래가도록 늘여서. 시루 - 떡이나 쌀 따위를 찌는 데 쓰는 둥..
이 글은 우리민족의 사라진 낱말인 "단"에 대해서 알아보기 위함이다. "단"이란 현대의 우리말로 "땅" 혹은 "영토" 혹은 "나라"를 뜻한다. 단군조선의 나라이름인 辰檀(센단), 발해의 나라이름인 震旦(센단), 遼라고도 불리었던 契丹(셜단), 위 모두 "단"을 붙여 나라이름을 지은 것이다. 이런 "단" 계열의 지명이나 국명은 대체로 呑(탄), 旦(단), 頓(돈), 丹(단), 屯(둔), 檀(단) 등으로 나타나며 이번 첫 번째 조사에서는 가장 많이 보이는 呑 계열의 지명을 찾아보도록 하겠다. 삼국사기 * 경(广+京)谷縣, 一云首乙呑 (경곡현은 또한 수을탄이라고도 한다) 경(广+京)은 음이 “경”이다. 강희자전에 뜻이 倉(곳집)이라고 하였다. (广+京)의 訓讀(훈독)이 首乙인지 아닌지는 알 수 없지만 谷의 훈..
신화와 같은 이야기에 檀雄(단웅)이 하늘에서 내려와 神市(신시)를 세울때 風伯(풍백)이 보좌하였다고 적혀있다. 풍백은 달리 아래와 같이 불렸는데 주로 중국문헌에서 찾을 수 있다. 封夷(봉이) 封家姨(봉가이) 十八姨(십팔이) 風師(풍사) 箕伯(기백) 飛廉(비렴) 方天君(방천군) 우리나라 민속에서는 風神(풍신) 아래와 같이 불렸다. 영등신 영등할머니(영등할망) 영등대왕 바래 이가운데 "바래"는 분명 "바람"이 변한말이니 삼국사기에 沸流國(불류국)[1]이 곧 風神國을 가리키는 말임에 틀림없다. 해동역사에 藍夷(람이)를 또한 風夷(풍이)라고 하였으니 藍은 곧 "바람"의 뒷글자 '람'을 음차함이다. 규원사화에 고열가 이후로 藍國이 모든 제후국을 다스렸다고 하였는데 이때부터 天神(천신)의 나라 震檀(진단)[2]이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