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히스토그램
- 기자조선
- 한서지리지
- 우분투
- ANOVA
- 풍백
- 선형회귀분석
- 기자
- 후한서
- 한서
- repeated measures ANOVA
- categorical variable
- post hoc test
- 통계학
- Histogram
- 독사방여기요
- 지리지
- 낙랑군
- 창평
- R
- 통계
- spss
- 단군
- 고구려
- t test
- linear regression
- 유주
- 신라
- 패수
- Today
- Total
목록독단론 (438)
獨斷論
신채호 지음 동양의 고사를 연구하려면 반드시 조선 고문화의 원류를 탐색치 않고는 도저히 史의 근거와 사의 진수와 사의 체계와 통지(統志)를 작성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면 조선 고문화를 강구(講究)함에는 먼저 조선 구강(舊疆)의 판도 범위부터 획정(劃定)하여야 되리니 고대 문헌의 고증을 어디서 찾아낼 것이냐? 신지(神誌)의 구변진단도(九變震壇圖)가 전하지 못하고 단군 계통의 부여가 조업(祖業)을 계승하여 만몽대륙에서 혁혁문화(赫赫文化) 1천년을 발양(發揚)하여 오다가 춘추 열국 시대에 미쳐서 한족(漢族)과 전쟁을 일으켜 혹승혹패(或勝或敗)하며 장기간에 걸친 전운이 식녕(息寧)의 날이 없더니 제환공(齊桓公) 때에 와서는 조선족의 쇠운기라 패적(敗蹟)이 날로 많으매 만몽(滿蒙) 서남부에 사는 조선족의 근거가..
고구려 백제 신라와 관련된 낙랑 정리 고구려 백제 신라 BC28 낙랑인들이 군사를 거느리고 와서 침범하였다 三十年 樂浪人將兵來侵 BC20 진한의 유민으로부터 변한, 낙랑, 왜인에 이르기까지 두려워하는 마음을 품지 않음이 없습니다. 三十八年 "自辰韓遺民 以至卞韓·樂浪·倭人 無不畏懷 BC15 가을 8월에 사신을 낙랑에 보내 우호를 닦았다. 四年 春夏 旱 饑疫 秋八月 遣使樂浪修好 BC11 낙랑태수의 사자가 고하여 말하였다…이로 말미암아 낙랑과 우호를 잃게 되었다. 樂浪太守使告曰…由是 與樂浪失和 BC8 여름 4월에 낙랑이 말갈을 시켜 병산책을 습격하여 깨뜨리고는 100여 명을 죽이거나 사로잡았다. 가을 7월에 독산책과 구천책의 두 목책을 세워 낙랑과의 통로를 막았다. 十一年 夏四月 樂浪使靺鞨襲破甁山柵 殺掠一百餘..
한맥역사강좌 제 8회 (조선 1) 이라 이름한 뜻 o 조선이외에도 부여(夫餘), 진한(辰韓)·변한(卞韓)·마한(馬韓)·낙랑(樂浪)·대방(帶方)· 진번(眞番)·임둔(臨屯)·신라(新羅)·가락(駕洛)·고구려(高句麗)·백제(百濟)·진(震)·발해 (勃海)·마진(摩震)·태봉(泰封)·고려(高麗) 등의 이름이 있음. o 이들 이름의 뜻을 말하고 조선의 뜻을 말하고자 함. o 이들의 연혁은 모두 단군(壇君)때부터 있던 칭호임. 1. 고구려·고려 등은 단군조선(壇君朝鮮) 중부(中部)의 이름. o 고려 : 고구려의 이름을 이은 자. - 「왕건이 국호를 후고구려(後高句麗)라 하다」 - 서희전 「우리나라가 고구려 故地에서 일어난 고로 국호를 고려라 하다.」 o 고구려는 고주몽성제 이전에도 있었다. - 「북부여왕을 “寧藁離王”이..
차 례=======三國史記卷第一.三國史記卷第二.三國史記卷第三.三國史記卷第四.三國史記卷第五.三國史記卷第六.三國史記卷第七.三國史記卷第八.三國史記卷第九.三國史記卷第十.三國史記卷第十一.三國史記卷第十二.三國史記卷第十三.三國史記卷第十四.三國史記卷第十五.三國史記卷第十六.三國史記卷第十七.三國史記卷第十八.三國史記卷第十九.三國史記卷第二十.三國史記卷第二十一.三國史記卷第二十二.三國史記卷第二十三.三國史記卷第二十四.三國史記卷第二十五.三國史記卷第二十六.三國史記卷第二十七.三國史記卷第二十八.三國史記卷第二十九.三國史記卷第三十.三國史記卷第三十一.三國史記卷第三十二.三國史記卷第三十三.三國史記卷第三十四.三國史記卷第三十五.三國史記卷第三十六.三國史記卷第三十七.三國史記卷第三十八.三國史記卷第三十九.三國史記卷第四十.三國史記卷第四十一.三國史記卷第四十二...
古語集解 저자 辛兌鉉(신태현) 잡지 正音 발행자 朝鮮語學硏究會 발행일자 1940/10/ 수록권호 35호 수록페이지 23 (ㄱ) 가야 更 (副) (杜諺) 가멸 富 (形) (杜諺) 가알 司 (動) (杜諺) 가히 狗 (名) (字會) 가 剪 (名) (字會 杜諺) 갈 劒, 刀 (名) (龍歌) 간곡 狡 (形) (杜諺) 갈 藏 (動) (杜諺) 갓 皮 (名) (字會) 갓 削 (動) (杜諺) 간치 鵲 (名) 杜諺 감토 帽 (名) 字會 거러치 隷 (名) 字會 거붑 龜 (名) 字會 거웃 髥 (名) 字會 거우로 鏡 (名) 字會 거 蚯 (名) 字會 거슬 逆 (動) 杜諺 것글 折 (動) 龍歌, 杜諺 貫 (動) 龍歌 계울 不勝 (動) 龍歌 고골 蔕 (名) 杜諺 고 鼻 (名) 字會 고마 妾 (名) 字會 고 廩 (..
규원사화 삼국유사 紀年東史約(1849) 紀年兒覽(1778) 大東歷史(1905) 1)太白山西南牛首河之原曰壬儉城[i] 2)居牛首河畔十年乃遷都於白山之南浿水之北曰平壤卽第二壬儉城也.[ii] 3)御國三十餘年…占居阿斯達下唐莊之野 4)御國四十餘載,…乃益封夫餘北方之地, 使宅牛首忽(卽先平壤[iii]), 使夫婁居壬儉城…[iv] 5)遷都樂浪忽, 使眞番侯監舊都. 6)避居於唐莊京, 入阿斯達[v] 1)降於太伯山頂[vi] 2)唐高卽位五十年[vii]…都平壤城, 始稱朝鮮. 3)移都於白岳山阿斯達[viii] 4)周虎王卽位己卯, 封箕子於朝鮮, 壇君乃移於藏唐京, 後還隱於阿斯達爲山神 1)檀君立都平壤 2)商武丁三十九祀, 入阿斯達 1)都平壤 2)後都白岳, 世號唐藏京 3)入阿斯達爲神 1)雄築室于太白山 2)都長安[今平壤] 3)一百二十七年都白岳 4)一千..
1.《설문해자》의 이(夷), 만(蠻), 융(戎), 적(狄). ▶ 자료 출처 :《說文解字經》段玉裁 著. 臺灣 蘭臺書局. 1977. 【東方之人也從大從弓】 【동방의 사람을 말한다. ‘大’에서 유래하였으며 또한 ‘弓’에서 유래하였다.】 各本作平也從大從弓東方之人也淺人所改耳今正韻會正如是羊部曰南方蠻閩從虫北方狄從犬東方貉從豸西方羌從羊西南僰人焦僥從人蓋在坤地頗有順理之性惟東夷從大大人也夷俗仁仁者壽有君子不死之國按天大地大人亦大大象人形而夷篆從大則與夏不殊夏者中國之人也從弓者肅愼氏貢楛矢石砮之類也出車節南山桑柔召旻傳皆曰夷平也此與君子如夷有夷之行降福孔夷傳夷易也同意夷卽易之假借也易亦訓平故叚夷爲易也節南山一詩中平易分釋者各依其義所近也風雨傳曰夷悅也者平之意也皇矣傳曰夷常也者謂夷卽彝之假借也凡注家云夷傷也者謂夷卽痍之假借也周禮注夷之言尸也者謂夷卽尸之假借也尸陳也其他訓釋..
説文解字卷十一上 浿, 水出樂浪鏤方東入海从水頁聲一曰出浿水縣普拜切 패수(浿水)는 낙랑군 루방(鏤方)을 나와서 동쪽으로 해(海)로 들어간다. 水와 頁을 따르는 소리이다. 어떤 사람은 패수현을 나온다고 하였다. 浿는 배(普拜切)로 읽는다. 史記卷一百十五 朝鮮王滿者故燕人也自始全燕時嘗略屬真番朝鮮為置吏築鄣塞秦滅燕屬遼東外徼漢興為其逺難守復修遼東故塞至浿水為界(正義地理志云浿水出遼東塞外西南至樂浪縣西入海浿普大反) 조선(朝鮮)의 임금 위만은 옛 연(燕) 사람이다. 연(燕)의 전성기때부터 진번(眞番)과 조선을 침략하여 아전을 두고 장새(鄣塞)를 쌓았다. 진(秦)이 연(燕)을 멸하고 료동(遼東) 밖의 요(徼)에 속하게 하였다. 한(漢)이 흥하여 그 땅이 너무 멀어 지키기 어려우므로 료동(遼東)의 옛 새(塞)를 고쳐 패수(浿水)를 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