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통계
- 우분투
- 단군
- repeated measures ANOVA
- ANOVA
- t test
- categorical variable
- 히스토그램
- 후한서
- linear regression
- 선형회귀분석
- R
- 기자조선
- 패수
- 독사방여기요
- spss
- 풍백
- 한서지리지
- Histogram
- post hoc test
- 고구려
- 창평
- 기자
- 낙랑군
- 신라
- 통계학
- 한서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유주
- 지리지
- Today
- Total
목록독단론 (438)
獨斷論
가공식초` [ 加工食醋 ] 양조법에 의해 만든 식초를 가공한 조미용 식초 •농축식초 •분말식초 등의 총칭. 조미용 식초는 양조법에 의해 만든 식초에 조미료와 향신료 등을 첨가하여 만든 것으로, 요리의 재료나 용도에 따라 가공된 것이다. 서양에서는 가공한 식초가 많이 상품화되어 널리 사용되고 있는데, 만드는 법은 식초에 첨가하는 재료에 따라 다르다. 서양의 향미초인 프레버드비네거는 사과나 포도로 만든 식초에 향신료(후추 •양파 등)와 조미료를 섞어서 만든 것으로, 빛깔이 맑고 식초 속에 향신료의 분말이 떠 있거나 침전되어 있다. 프렌치드레싱은 비교적 많은 양의 샐러드유에 식초를 섞고 소금 •파프리카 •후춧가루 •설탕 •머스터드, 또는 타바스코소스 등의 조미료와 향신료를 섞은 가공식초로 샐러드의 드레싱으로 ..
한서 유주 상곡군(上谷郡) 상곡군(上谷郡), 진(秦)에서 설치하였다. 왕망이 말하기를 삭조(朔調)라 하였다. 유주(幽州)에 속한다. 가구수는 3,6008이고 인구수는 11,7862명이다. 속한 현은 15개이다. 1)저양현(沮陽縣), 왕망이 말하기를 저음(沮陰)이라 했다.[1] 2)천상현(泉上縣), 왕망이 말하기를 새천(塞泉)이라 했다. 3)반현(潘縣), 왕망이 말하기를 수무(樹武)라 했다.[2] 4)군도현(軍都縣), 온여수(溫餘水)가 동쪽으로 흘러 어양군 로현(路縣)에 이르러 남쪽으로 고수(沽水)로 들어간다. 5)거용현(居庸縣), 관(關)이 있다. 6)구무현(雊瞀縣),[3] 7)이여현(夷輿縣), 왕망이 말하기를 삭조정(朔調亭)이라 했다. 8)영현(寧縣), 서부도위(西部都尉)가 다스린다. 왕망이 말하기를 ..
한서 유주 대군(代郡) 대군(代郡), 진국(秦國)에서 설치하였다. 왕망이 말하기를 염적(厭狄)이라 하였다. 오원관(五原關)과 상산관(常山關)이 있다. 유주(幽州)에 속한다.[1] 가구수는 5,6771이고 인구수는 27,8754명이다. 속한 현은 18개이다. 1)상건현(桑乾縣), 왕망이 말하기를 안덕(安徳)이라 했다.[2] 2)도인현(道人縣), 왕망이 말하기를 도인(道仁)이라 했다.[3] 3)당성현(當城縣),[4] 4)고류현(高栁縣), 서부도위(西部都尉)가 다스린다. 5)마성현(馬城縣), 동부도위(東部都尉)가 다스린다. 6)반씨현(班氏縣), 진지도서(秦地圖書)에서 반씨(班氏)라 했고 왕망은 반부(班副)라고 했다. 7)연릉현(延陵縣), 8)의씨현(狋氏縣), 왕망이 말하기를 의취(狋聚)라 했다.[5] 9)차여..
한서 지리지 유주 발해군(勃海郡), 고제(高帝)가 설치하였다. 왕망이 말하기를 영하(迎河)라고 하였다. 유주(幽州)에 속한다.[1] 가구수는 25,6377이고 인구수는 90,5119이다. 현은 26개이다. 1)부양현(浮陽縣), 왕망이 말하기를 부성(浮城)이라 하였다. 2)양신현(陽信縣), 3)동광현(東光縣), 호소정(胡蘇亭)이 있다. 4)부성현(阜城縣), 왕망이 말하기를 오성(吾城)이라 했다.[2] 5)천동현(千童縣),[3] 6)중합현(重合縣), 7)남피현(南皮縣), 왕망이 말하기를 영하정(迎河亭)이라고 했다.[4] 8)정현(定縣), 후국(侯國)이다. 9)장무현(章武縣), 염관(鹽官)이 있다. 왕망이 말하기를 환장(桓章)이라 했다. 10)중읍현(中邑縣), 왕망이 말하기를 검음(檢隂)이라 했다. 11)고성..
한서(漢書) 유주(幽州) 탁군(涿郡) 涿郡, 高帝置. 莽曰垣翰. 屬幽州. 戸十九萬五千六百七, 口七十八萬二千七百六十四. 有鐡官. 縣二十九. 涿, 桃水首受淶水, 分東至安次入河.[1] 逎, 莽曰逎屛.[2] 榖丘, 故安, 閻鄉, 易水所出, 東至范陽入濡也. 并州䆮. 水亦至范陽入淶.[3] 南深澤, 范陽, 莽曰順陰.[4] 蠡吾,[5] 容城, 莽曰深澤. 易, 廣望, 侯國. 鄭, 莽曰言符.[6] 高陽, 莽曰高亭.[7] 州鄉, 侯國. 安平, 都尉治. 莽曰廣望亭. 樊輿, 侯國. 莽曰握符. 成, 侯國. 莽曰宜家. 良鄉, 侯國. 垣水南東至陽鄉入桃. 莽曰廣陽. 利鄉, 侯國. 莽曰章符. 臨鄉, 侯國. 益昌, 侯國. 莽曰有祑[8]. 陽鄉, 侯國. 莽曰章武. 西鄉, 侯國. 莽曰移風. 饒陽,[9] 中水,[10] 武垣, 莽曰垣翰亭.[11..
梁이 붙은 지역은 대개 곶(串)에 해당되나 중요한 군사시설이나 큰마을이 위치해 있었다. 조선왕조실록에 馬梁 達梁 蘭梁 蛇梁訖羅梁 草梁 대개 해군기지 鎭이 설치되어 있다.
기자조선은 단군조선 1000년 통치기간 후에 기자가 정권을 이어받아 다시 또 1000년을 다스렸다고 기록하고 있다. 그러나 단군조선을 이어받은 기자는 주나라에서 망명온 기자가 아니라 아마도 풍백 운사 우사 중 풍백의 자손이 아닌가 한다. 우선 箕의 뜻을 살펴보면존한자사전 【기】키; 삼태기; 쓰레받기; 별 이름; 바람 귀신(風伯); 다리를 뻗고 앉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바로 바람귀신이라고 하는 풍백(風伯)인데, 환웅이 나라를 세울때 개국공신이었던 풍백과 한자가 일치한다는 점이다.강희자전 【書·洪範註】好風者箕星,好雨者畢星。바람을 좋아하는 것은 바로 기성(箕星)이라고 합니다. 【註】箕伯,風師。기백(箕伯)은 풍사(風師)이다.위 한자의 뜻으로부터 꼭 사서에 나오는 箕子는 사람의 이름을 말하는 것이 아니라 箕의 ..
옥저(沃沮)에 대해서 만주원류고에서는 삼림(森林)이라 풀이하고 만주어인 "와지"라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옥저를 삼림지라고 일반적으로 풀이하기에는 옥저의 영토가 너무 작다. 더군다나 옥저는 삼림의 일반적인 뜻이라기보다는 고구려 개마대산 동쪽에 있던 해안가를 의지하고 살았던 나라이다. 크기가 1000리라고는 하나 그 영토의 생김새는 길이만 긴 나라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옥저를 와지로 번역하기에는 무리가 있다. 우선 삼국지에 기록된 옥저를 보자.동옥저 東沃沮在高句麗蓋馬大山之東, 濱大海而居. 其地形東北狹西南長, 可千里 동옥저는 고구려 개마대산의 동쪽에 있다. 큰 바다에 접하여 산다. 그 땅은 동북쪽으로 갈수록 땅이 좁아지는데 서남쪽으로 긴 형태이다. 땅은 가히 1000리이다. 여기서 짐작할 수 있듯이 동옥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