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패수
- post hoc test
- 기자
- 통계학
- 낙랑군
- 독사방여기요
- 유주
- 히스토그램
- Histogram
- 한서지리지
- 선형회귀분석
- spss
- 신라
- 통계
- 우분투
- 후한서
- R
- linear regression
- 고구려
- 풍백
- repeated measures ANOVA
- 창평
- t test
- 기자조선
- 한서
- ANOVA
- categorical variable
- 단군
- 지리지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Today
- Total
목록독단론 (438)
獨斷論
한글 "省/府/州/郡/縣名 水/山/城名 等" 縣名 州/郡名 府名 省名 等 原典 卷數 一連番號 PAGE 原典 內容 작산 鵲山 南山經 山海經 제01-01 1 043 "원문은 http://guoxue.baidu.com/page/c9bdbaa3bead/0.html 에서 다운 南山經之首曰鵲山。其首曰招搖之山,臨於西海之上,多桂,多金玉。有草焉,其狀如韭而青華,其名曰祝餘,食之不饑。有木焉,其狀如穀而黑理,其華四照,其名曰迷穀,佩之不迷。有獸焉,其狀如禺而白耳,伏行人走,其名曰狌々,食之善走。麗{鹿旨=麂}之水出焉,而西流注於海,其中多育沛,佩之無瘕疾。" 소요산 招搖山 南山經 山海經 제01-01 2 043 見 鵲山 여궤수 麗麂水 南山經 山海經 제01-01 3 043 見 鵲山 해 海 南山經 山海經 제01-01 4 043 見 鵲山 당정산 堂庭山..
縣命/水名 山名/城名 州名 府名 原典 쪽수 省/관련 위치 가 柯 齊地名 史記 地名考 257 가가구 賈家溝 武强縣 眞定府 方輿 647 河北 縣東北 가계주도 可係州都 新唐書 1131 가계주 哥係州 河西道 舊唐書 1647 方輿 가곡 嘉穀 梁國 漢書 1636 왕망 前漢 때는 치 가남주 가嵐州 가嵐州 河東北路 金史 633 方輿 가남주 가嵐州 가嵐州 太原府 方輿 1719 山西 太原 春秋晉後爲樓煩所據 가녕 嘉寧 南齊書 00266 가녕 嘉寧 交趾郡 隋書 885 方輿 가녕 嘉寧 峰州 嶺南道 舊唐書 1757 方輿 가녕 嘉寗 봉주 新唐書 1113 가당 可當 수州 鞏昌府 元史 1433 方輿 가돈성 可敦城 河州 臨조府 方輿 2782 陝西 廢庭州東北 가두산 加斗山 馬邑縣 大同府 方輿 1880 山西 縣東南十五里 가람산 가嵐山 곽縣..
고대 중국어 전문가 문성재씨 주장 문성재 박사“새로 출토된 고구려 비석은 위각(僞刻)일 가능성이 크다.” '제2의 광개토대왕비'로 추정됐던 고구려비에 대해 고대 중국어 학자 문성재(우리역사연구재단 책임연구원) 박사가 의문을 제기했다. 고구려를 한나라의 지방정권으로 조작하는 증거로 만들어냈을 개연성이 크다고 했다. 비문 표현과 내용이 기존의 광개토대왕비와 비교해 가짜일 가능성이 농후하다는 주장이다. ◆'중국 문물보' 분석=중국 국가문물국(문화재청에 해당)이 내는 '중국 문물보' 1월 4일자에 고구려 비석 발견 기사가 실렸다. 문 박사는 '문물보' 내용만 분석해도 비석의 실체와 그들의 의도를 어느 정도 파악할 수 있다고 했다. '문물보'에서 이번 고구려비의 양식을 '규형비(圭形碑)'라고 규정했다. '규형비'..
卷一 ◎历代州域形势一唐虞三代 春秋战国 秦 昔黄帝方制九州,列为万国《周公职录》:黄帝割地布九州。《汉志》:黄帝方制万里,画野分州。或曰:九州颛帝所建,帝喾受之《帝王世纪》:冀、兖、青、徐、扬、荆、豫、梁、雍九州,颛帝所建。《通典》亦云。尧遭洪水,天下分绝。舜摄帝位,命禹平水土,以冀、青地广,分冀东恒山之地为并州恒山,在直隶曲阳县西北百四十里。详直隶名山。舜之并州,今直隶之真定、保定、山西之太原、大同等府皆是,又东北医无闾之地为幽州医无闾山,在辽东广宁卫西五里。幽州,今直隶之顺天永平府及辽东广宁等卫以西北,皆是其境,又分青州东北辽东之地为营州辽东,地在辽水东也。辽水,在辽东都司城西百六十里。营州,今辽东定辽诸卫以北,又东至朝鲜之境。《书》曰肇十有二州,是也。 刘氏曰:舜分幽、并,内固王畿,外维疆索,包天下后世之虑也。○叶氏曰:《祭法》云共工氏霸九州,然则九州之名旧矣共工氏在黄帝以前。..
历代州域形势纪要序 天下不能有治而无乱也。繇乱而之治,则州域奠定,而形势操于一人。繇治而之乱,则州域纷更,而形势散于天下。盖有都会焉,有藩服焉,有疆索焉,此州域也。而即一人之形势也,封域不可恃为强,城郭不可恃为固,山溪不可恃为险。一夫荷戈,群雄角逐,天下各有其形势,而州域于是乎不可问矣。有大力者出焉,提衡握机,取天下之形势,而独决于指掌之中,于以芟除僭伪,削平祸乱,而形势复定。呜呼!自生民以来,乱则必归于治也。其治也,必有所以致之者也。治则必趣于乱也。其乱也,亦必有所以致之者也。时代之因革,视乎州域;州域之乘除,关乎形势。州域之建置有定,而形势之变动无方,譬之奕焉:州域其画方之道也,形势其布子之法也;譬之治田者焉:州域其疆理之迹也,形势其垦辟之宜也。布子同而胜负不同,则存乎奕者之心手而已矣。垦辟同而获否不同,则存乎田者之材力而已矣。禹迹茫茫,其得失成败之故,不越于此也。览者盍亦知其大指焉。
读史方舆纪要 (清)顾祖禹 叙宁都魏禧 叙南昌彭士望 总叙一 总叙二 总叙三 凡例二十六则 目次 历代州域形势纪要序 卷一 卷二 卷三 卷四 卷五 卷六 卷七 卷八 卷九 北直方舆纪要序 卷十 卷十一 卷十二 卷十三 卷十四 卷十五 卷十六 卷十七 卷十八 南直方舆纪要序 卷十九 卷二十 卷二十一 卷二十二 卷二十三 卷二十四 卷二十五 卷二十六 卷二十七 卷二十八 卷二十九 山东方舆纪要序 卷三十 卷三十一 卷三十二 卷三十三 卷三十四 卷三十五 卷三十六 卷三十七 卷三十八 山西方舆纪要序 卷三十九 卷四十 卷四十一 卷四十二 卷四十三 卷四十四 卷四十五 河南方舆纪要序 卷四十六 卷四十七 卷四十八 卷四十九 卷五十 卷五十一 陕西方舆纪要序 卷五十二 卷五十三 卷五十四 卷五十五 卷五十六 卷五十七 卷五十八 卷五十九 卷六十 卷六十一 卷六十二 卷六十三 卷六十四 卷六十五 ..
한서(漢書) 유주(幽州) 우북평군(右北平郡) 우북평군(右北平郡), 진(秦)에서 설치하였다. 왕망은 북순(北順)이라 했다. 유주(幽州)에 속한다. 가구수는 6,6689이고 인구수는 32,0780명이다. 속한 현은 16개이다. 1)평강현(平剛縣), 2)무종현(無終縣), 옛 무종자국(無終子國)이다. 경수(浭水)가 서쪽으로 흘러 어양군 옹노현(雍奴縣)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가는데 2개의 군을 지나며 650리를 흐른다.[1] 3)석성현(石成縣), 4)정릉현(廷陵縣), 망(莽)은 포무(鋪武)라 했다. 5)준미현(俊靡縣), 유수(灅水)가 남쪽으로 흘러 우북평군 무종현(無終縣)에 이르러 동쪽으로 흘러 경수(庚水)로 들어간다. 망(莽)은 준마(俊麻)라 했다.[2] 6)자현(薋縣), 도위(都尉)가 다스린다. 망(莽)은 포목..
유주(幽州) 어양군(漁陽郡) 어양군(漁陽郡), 진(秦)이 설치하였다. 왕망은 통로(通路)라 하였다. 유주(幽州)에 속한다. 가구수는 6,8802이고 인구수는 26,4116명이다. 속한 현은 12이다. 1)어양현(漁陽縣), 고수(沽水)가 새(塞) 밖으로부터 출발하여 동남쪽으로 흘러 어양군 천주현(泉州縣)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가는데 750리를 흐른다. 철관(鐵官)이 있다. 왕망은 득어(得漁)라고 했다. 2)호노현(狐奴縣), 망(莽)은 거부(舉符)라 했다. 3)노현(路縣), 망(莽)은 통로정(通路亭)이라 했다. 4)옹노현(雍奴縣), 5)천주현(泉州縣), 염관(鹽官)이 있다. 망(莽)은 천조(泉調)라고 했다. 6)평곡현(平谷縣), 7)안락현(安樂縣), 8)제해현(厗奚縣), 망(莽)은 돈덕(敦徳)이라 했다.[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