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2 | 3 | 4 |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 한서지리지
- 신라
- Histogram
- repeated measures ANOVA
- 후한서
- 지리지
- 창평
- 히스토그램
- 통계
- linear regression
- 독사방여기요
- spss
- 한서
- 선형회귀분석
- post hoc test
- 풍백
- 유주
- 통계학
- 기자조선
- 기자
- 고구려
- 패수
- 단군
- ANOVA
- 낙랑군
- categorical variable
- t test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우분투
- R
- Today
- Total
목록고전모음 (37)
獨斷論
한서(漢書) 유주(幽州) 우북평군(右北平郡) 우북평군(右北平郡), 진(秦)에서 설치하였다. 왕망은 북순(北順)이라 했다. 유주(幽州)에 속한다. 가구수는 6,6689이고 인구수는 32,0780명이다. 속한 현은 16개이다. 1)평강현(平剛縣), 2)무종현(無終縣), 옛 무종자국(無終子國)이다. 경수(浭水)가 서쪽으로 흘러 어양군 옹노현(雍奴縣)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가는데 2개의 군을 지나며 650리를 흐른다.[1] 3)석성현(石成縣), 4)정릉현(廷陵縣), 망(莽)은 포무(鋪武)라 했다. 5)준미현(俊靡縣), 유수(灅水)가 남쪽으로 흘러 우북평군 무종현(無終縣)에 이르러 동쪽으로 흘러 경수(庚水)로 들어간다. 망(莽)은 준마(俊麻)라 했다.[2] 6)자현(薋縣), 도위(都尉)가 다스린다. 망(莽)은 포목..
유주(幽州) 어양군(漁陽郡) 어양군(漁陽郡), 진(秦)이 설치하였다. 왕망은 통로(通路)라 하였다. 유주(幽州)에 속한다. 가구수는 6,8802이고 인구수는 26,4116명이다. 속한 현은 12이다. 1)어양현(漁陽縣), 고수(沽水)가 새(塞) 밖으로부터 출발하여 동남쪽으로 흘러 어양군 천주현(泉州縣)에 이르러 바다로 들어가는데 750리를 흐른다. 철관(鐵官)이 있다. 왕망은 득어(得漁)라고 했다. 2)호노현(狐奴縣), 망(莽)은 거부(舉符)라 했다. 3)노현(路縣), 망(莽)은 통로정(通路亭)이라 했다. 4)옹노현(雍奴縣), 5)천주현(泉州縣), 염관(鹽官)이 있다. 망(莽)은 천조(泉調)라고 했다. 6)평곡현(平谷縣), 7)안락현(安樂縣), 8)제해현(厗奚縣), 망(莽)은 돈덕(敦徳)이라 했다.[1]..
한서 유주 상곡군(上谷郡) 상곡군(上谷郡), 진(秦)에서 설치하였다. 왕망이 말하기를 삭조(朔調)라 하였다. 유주(幽州)에 속한다. 가구수는 3,6008이고 인구수는 11,7862명이다. 속한 현은 15개이다. 1)저양현(沮陽縣), 왕망이 말하기를 저음(沮陰)이라 했다.[1] 2)천상현(泉上縣), 왕망이 말하기를 새천(塞泉)이라 했다. 3)반현(潘縣), 왕망이 말하기를 수무(樹武)라 했다.[2] 4)군도현(軍都縣), 온여수(溫餘水)가 동쪽으로 흘러 어양군 로현(路縣)에 이르러 남쪽으로 고수(沽水)로 들어간다. 5)거용현(居庸縣), 관(關)이 있다. 6)구무현(雊瞀縣),[3] 7)이여현(夷輿縣), 왕망이 말하기를 삭조정(朔調亭)이라 했다. 8)영현(寧縣), 서부도위(西部都尉)가 다스린다. 왕망이 말하기를 ..
한서 유주 대군(代郡) 대군(代郡), 진국(秦國)에서 설치하였다. 왕망이 말하기를 염적(厭狄)이라 하였다. 오원관(五原關)과 상산관(常山關)이 있다. 유주(幽州)에 속한다.[1] 가구수는 5,6771이고 인구수는 27,8754명이다. 속한 현은 18개이다. 1)상건현(桑乾縣), 왕망이 말하기를 안덕(安徳)이라 했다.[2] 2)도인현(道人縣), 왕망이 말하기를 도인(道仁)이라 했다.[3] 3)당성현(當城縣),[4] 4)고류현(高栁縣), 서부도위(西部都尉)가 다스린다. 5)마성현(馬城縣), 동부도위(東部都尉)가 다스린다. 6)반씨현(班氏縣), 진지도서(秦地圖書)에서 반씨(班氏)라 했고 왕망은 반부(班副)라고 했다. 7)연릉현(延陵縣), 8)의씨현(狋氏縣), 왕망이 말하기를 의취(狋聚)라 했다.[5] 9)차여..
한서 지리지 유주 발해군(勃海郡), 고제(高帝)가 설치하였다. 왕망이 말하기를 영하(迎河)라고 하였다. 유주(幽州)에 속한다.[1] 가구수는 25,6377이고 인구수는 90,5119이다. 현은 26개이다. 1)부양현(浮陽縣), 왕망이 말하기를 부성(浮城)이라 하였다. 2)양신현(陽信縣), 3)동광현(東光縣), 호소정(胡蘇亭)이 있다. 4)부성현(阜城縣), 왕망이 말하기를 오성(吾城)이라 했다.[2] 5)천동현(千童縣),[3] 6)중합현(重合縣), 7)남피현(南皮縣), 왕망이 말하기를 영하정(迎河亭)이라고 했다.[4] 8)정현(定縣), 후국(侯國)이다. 9)장무현(章武縣), 염관(鹽官)이 있다. 왕망이 말하기를 환장(桓章)이라 했다. 10)중읍현(中邑縣), 왕망이 말하기를 검음(檢隂)이라 했다. 11)고성..
한서(漢書) 유주(幽州) 탁군(涿郡) 涿郡, 高帝置. 莽曰垣翰. 屬幽州. 戸十九萬五千六百七, 口七十八萬二千七百六十四. 有鐡官. 縣二十九. 涿, 桃水首受淶水, 分東至安次入河.[1] 逎, 莽曰逎屛.[2] 榖丘, 故安, 閻鄉, 易水所出, 東至范陽入濡也. 并州䆮. 水亦至范陽入淶.[3] 南深澤, 范陽, 莽曰順陰.[4] 蠡吾,[5] 容城, 莽曰深澤. 易, 廣望, 侯國. 鄭, 莽曰言符.[6] 高陽, 莽曰高亭.[7] 州鄉, 侯國. 安平, 都尉治. 莽曰廣望亭. 樊輿, 侯國. 莽曰握符. 成, 侯國. 莽曰宜家. 良鄉, 侯國. 垣水南東至陽鄉入桃. 莽曰廣陽. 利鄉, 侯國. 莽曰章符. 臨鄉, 侯國. 益昌, 侯國. 莽曰有祑[8]. 陽鄉, 侯國. 莽曰章武. 西鄉, 侯國. 莽曰移風. 饒陽,[9] 中水,[10] 武垣, 莽曰垣翰亭.[11..
三. 準根本(준근본) 徵憑(징빙)다시 準直接徵憑(준직접징빙)과 準古徵憑(준고징빙)으로 認(인)할 者(자)의 主要(주요)한 것을 便宜上(편의상) 미리 揭出(게출)하야두자. 金富軾(김부식)의 三國史記(삼국사기)에는[卷第十七, 高句麗本紀第五, 東川王 ] 二十一年春二月, 王以丸都城, 經亂不可復都, 築平壤城, 移民及廟社平壤者本仙人王儉之宅也, 或云王之都王儉.의 文(문)이 잇스니 王儉(왕검)의 名(명)이 보인 最古(최고)의 文籍(문적)이오 鄭麟趾(정인지) 등의 ‘高麗史(고려사, 西紀 一四五一年 撰成)에는[卷五十八, 志卷第十二, 地理三, 豊州] 儒州本高句麗闕口, 高麗初改今名, 顯宗九年來屬, 睿宗元年置監務, 高宗四十六年, 以衛社功臣成均大司成柳璥內鄕, 陞爲文化縣令官, 別號始寧(成廟所定), 有九月山(世傳阿斯達山), 㽵㽵坪(..
제1편 箕子世系와 箕子墓 제1장 箕子世系論 1. 箕子世系의 僞撰 箕子의 世系를 혹은 第四十二代 혹은 第四十一代라하야 그 說이 일정하지 못하니 이는 文聖王(?)으로부터 樂成王(?)지의 十九代는 틀림이 업스나 樂成王以後代에 와서 서로 糾錯되는 點이 잇서 一代가 줄고 늘고 한다. 東史에 이르되 敬孝王詢(?)으로부터 哀平王否(?)지의 年代及名諡는 가히 紀할수잇스되 그 父子兄弟의 次序는 가히 詳考할 길이 업다하엿다. 그 歷代諸王의 諡名에 잇서 箕子志를 東史에 對照하니 서로 錯誤되는 점이 만타. 이는 아마 箕子志의 誤일가한다. 東史에 據하면 朝鮮서 王號를 갓기는 箕子朝鮮 第三十二代의 赫聖王時代라고도하며 는 第四十二代(혹은 四十一代)의 箕準時代라고도 하야 그 說이 일정하지 못하다. 勝覽에 武康王이라함은 곳 箕準..