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 | 월 | 화 | 수 | 목 | 금 | 토 |
---|---|---|---|---|---|---|
1 |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 post hoc test
- 태그를 입력해 주세요.
- 유주
- 한서지리지
- 단군
- Histogram
- categorical variable
- 신라
- 후한서
- 고구려
- 독사방여기요
- 창평
- 통계
- 통계학
- 히스토그램
- 패수
- 지리지
- ANOVA
- R
- spss
- repeated measures ANOVA
- linear regression
- 기자
- 낙랑군
- 우분투
- 선형회귀분석
- 기자조선
- 풍백
- t test
- 한서
- Today
- Total
목록독단론 (438)
獨斷論
고대에 天(천)을 “덩글”로 정도로 불렀다. 왜냐하면 고대인들은 하늘을 크고 넓다랗고 둥그런 존재로 보았기 때문이다. 그러나 이 음가는 정확한 것이 아니며 “동글”, “둥글”, “댕글”, “당갈”, “단간” 등도 가능성이 있다. 그리고 크고 넓다랗고 둥그런 하늘에 있는 이를 가리켜 “덩 글이”라고 하였는데 이를 한자로 훈음병차하여 “덩글”은 丸(환)으로 쓰고 “이”는 仁(인)으로 써서 丸仁(환인)이라 하였지만 불교가 융성해짐에 따라서 丸仁(환인)이 桓因(환인)이 되었다고 하였다. 쉽게 풀이하면 丸仁(환인)이란 곧 “대가리”라는 말이라고 하였다. 또한 덩글이「丸仁(환 인)」의 아들을 “환웅”이라 하지만 이 역시도 丸雄(환웅)이라고 써야 한다. 雄은 그 뜻이 “수ㅎ”인데 이는 고대에 男神(남신)의 의미를 갖..
유리왕은 졸본에서 국내성으로 천도를 한다. 그 당시 국제적 성황으로 볼때 유리왕은 동부여를 피하여 서쪽으로 도읍을 옮긴 것으로 볼 수 있다. 남당사료에는 국내성 즉 불이성이 북부여 땅이라고 말하고 있다. 대개 환도성과 국내성이 서로 인접하였다고 하지만, 이는 관구검이 새긴 不耐城과 국내성인 不而城을 혼동하고 있기 때문이다. 1) 유리왕이 천도한 不而城과 관구검이 공격한 丸都城의 위치 不而城은 漢의 낙랑군 不而縣으로 생각된다. 그 위치를 살펴보면...新唐書 卷四十三下 志 第三十三下 自鴨淥江口舟行百餘里,乃小舫泝(溯)流東北三十里至泊汋口,得渤海之境。又泝(溯)流五百里,至丸都縣城,故高麗王都。又東北泝(溯)流二百里,至神州。 압록강 어귀에서 배로 100여리를 가고, 이내 작은 배를 타고 동북으로 30리를 거슬러 올라가면..
"압록"이 곧 만주어 "yalu"이고 국경을 뜻한다고 하면서 압록수가 곧 국경에 존재했던 강이라고들 주장한다. 그러나 사서를 조금만 보면 틀린 "압록"이란 만주어 "yalu"가 아님을 알 수 있다. 삼국유사에 " 이때 금와는 태백산 남쪽 우발수에서 여자 하나를 만나서 물으니 그 여자는 말하기를 나는 하백의 딸로 이름이 유화입니다. 여러 동생들과 물 밖으로 나와서 노는데 남자 하나가 오더니 자기는 천제의 아들 해모수라고 하면서 나를 웅신산 밑 압록강 가의 집 속에 유인하면서 남몰래 정을 통하고 가더니 오지 않았습니다" 유화라는 사람이 대체 무슨 일로 국경에서 동생들과 놀겠는가? 이는 압록강이 국경을 뜻하는 말이 아니라는 뜻이다. 압록강의 뜻을 알수 있는 좋은 기록이 있다. 止浥婁異種, 原稱羊鄂羅墜, 本浥且..
진개가 동호와 조선을 침략하여 2천리를 빼앗은 후 그 국경으로 삼은 만반한(滿潘汗)이 어디인지 생각해보자. 만(滿)은 고대에 문(文)과 통하는 글자이므로 한나라 요동군 문현(文縣)과 번한현(番汗縣)이라고 하였다. 그러면 한서 지리지 요동군 기록을 보자.文、莽曰文亭。番汗、沛水出塞外、西南入海。【應劭曰:「汗水出塞外、西南入海。番音盤。」師古曰:「沛音普蓋反。汗音寒。」】 요동군 문현. 왕망은 문정文亭이라고 했다. 번한현(番汗). 패수(沛水)가 요새 밖에서 출발하여 서남쪽으로 흘러 海로 들어간다. 응초가 이렇게 말한다. 한수(汗水)가 요새 밖에서 출발하여 서남으로 흘러 海로 들어간다. 番의 음은 반(盤)이다. 사고는 말하기를 沛의 음은 배(普盖反)이다. 汗의 음은 한(寒)이라고했다.여기서 제가 말하고자 하는 것은 만반..
지난번에는 부소량 백아강 오덕지에 대하여 포괄적으로 이야기했는데 이제 각각에 대하여 논하여보고자 한다. 부소량이란 무엇이며 그 역사는 어떠한가? 1) 말뜻 부소량(扶踈樑)이란 우리 옛말로서 '소나무땅' 또는 '소나무나라'라는 뜻이다. 원래 松木을 뜻하던 옛말은 '부소나무'였는데[1] 이것이 도치되어 '소부나무'가 되고 습관상 주격조사 '이'를 붙여 '소부이나무'가 되었고 '이'는 '나'의 영향을 받아 '소부리나무'가 되었다. 그리고 'ㅂ'이 'ㅸ'이 되고 더욱더 'ㅇ'로 변하니 '소우리나무'가 되었다. 부소나무 > 소부나무 > 소부이나무 > 소이나무 > 소리나무 > 소우리나무아직도 우리는 소나무를 '소오리나무'라고 하기도 하는데 소나무의 옛말이 '부소나무'이기때문이다. 그리고 '나라'를 뜻하는 말을 ..
역사책에 쓰여 있는 한자(漢字)로 된 지명이나 인명들은 그대로 직역하면 그 뜻을 헤아릴 수 없어서, 한역(漢譯)을 하게 되면 역사의 본질을 그르치게 되므로 그 이름들을 바로잡고자 한다. 1. 인물* 桓因대부분 桓因(환인)을 "하느님"의 음사(音寫)이므로 "한님"으로 읽어야 한다고 하지만 그렇지 않다.桓因(환인)은 불교가 유행하던 시절에 원래의 한자를 고쳐 바꿔 쓴 것인데 이제 그 한자를 바로잡으면 丸仁(환인) 혹은 丸仁(환인)으로 써야 할 것이다. "하늘"의 어원은 "한"+"알"이다.즉, 하늘을 아주 큰 동그란 것으로 보고 그것을 표현하기를 "한알"이라 하였는데 그것이 지금 변하여 "하늘"이 된 것이다. 따라서 桓因(환인)은 丸因(환인)으로 써야 맞는데 丸이란 "알"이란 말이고, 因은 "님"의 음사이다...
대개 환도성丸都城의 위치를 현재 환인桓仁이라고 한다. 그런데 조금만 살펴봐도 삼국사기에서 말하는 환도성의 지리적 조건과 맞지가 않음을 알수 있다. 하지만 남당사료에는 환도성이 길림이라고 말하고 있다. AD342에 모용황이 고구려를 침략하면서 남도와 북도로 진격해온다. 남도는 길이 좁고 험하며, 북도는 길이 평탄하다고 했다. 그래서 대부분 고구려를 침략하는 자들이 북도를 이용하였나보다. 그러나 모용황은 정반대로 남도로 많은 병사를 보내고 북도로는 적은 병사를 보내지만, 고구려에서는 북도로 정예병을 보내고 남도로 약한군사를 보내 지게된다. 이런 공격계획을 세우는 모용황과 모용한 사이의 대화에서 환도성의 위치를 알 수 있는 결정적인 대화가 나온다.적은 상식으로 헤아려 반드시 대군이 북도로 올 것이라 여겨서, ..
송(宋) 증공량(曽公亮) 등이 편찬한 전집(前集) 권16에서 동경(東京) (전략) “에 이르기를 안동부(安東府)로부터 동남쪽으로 평양성(平壤城)에 이르는데 800 리이고, 서남쪽으로 도리해구(都里海口)에 이르는데 약 600 리이며, 서북쪽으로 건안성(建安城)에 이르는데 약 500 리이며, 정남쪽에서 조금 동쪽으로 압록강(鴨緑江) 북박(北泊)에 이르는데 약 700 리이다.” (皇華四達記曰自安東雰南至平壤城八百里西南至都里海口約六百里西北至建安城約五百里 正南微東至鴨緑江北泊約七百里) 오늘날 거란지형도(契丹地形圖)를 참고하여 보건대 건안성(建安城)은 어느 곳에 위치하였는지 알 수 없고 기타 지형의 원근(遠近)은 대체로 같다. 동북쪽으로 여진(女眞)의 경계까지 이르는데 약 500 리이며, 서쪽으로 요하(遼河)에 이르는..